자동매매를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봇?을 만들고 있다.
아직 다 만들진 못했지만 중간 정리한다.
오랫동안 보다보니 약간의 패턴이 보여서 하나씩 검증하는 중이다.
예전부터 가격이 특정 구간에서 진동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최근에 price channel 이란 지표를 알게되었다. 그래프로 적용하고 몇주동안 검토했다. 특정 구간에서 진동하는 것이 맞는 것 같아서 2주간 수익을 낼 수 있는 로직을 개발중이다.
자동매매 로직에는 몇 가지 조건이 요구된다.
- 작아도 꾸준한 수익률
- 손절 최소화
- 모든 시간 간격과 대부분의 종목에서 비슷한 수익율을 가져야 한다.
조건도 단순하고 눈으로 볼 때는 무조건 수익나는 구간이 있는 것 같은데 생각만큼 쉽지 않다.
어떤 곳에선 수익이 나지만, 다른 곳에서는 수익이 안난다던지,
너무 큰 손절이 연속으로 나타나는 등, 반드시 보완 해야 하는 상황이 반복된다.
그러다보면 미래의 종가를 반영하는 등 데이터의 함정에 빠진다.
그 동안 얻어낸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변동성돌파는 성과가 종목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의 봇들이 활용하는 전략이라 그런지 그걸 이용하는 세력들도 있는 것 처럼 보인다. 수익률도 높일 수 없다.
- 조금이라도 싸게 사야한다. 조금이라도 비싸게 팔아야 한다.
- 평균은 종가 이후에 형성된다. 그래서 평균을 돌파하는 건 큰 의미가 없다.
- 일괄매수 일괄매도는 수익률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재투자와 복리의 효과를 가져가기 위해서는 일괄매수 일괄매도가 필수지만, 한방에 모든 돈을 몰아 넣으면 언젠가는 물리게 된다. 이 부분을 대응하는 게 가장 어려웠다.
지금은 41번째로 만든 로직을 테스트하는 중이다.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726 주식공부 (0) | 2023.07.26 |
---|---|
20230723 주식공부, 용어정리 (0) | 2023.07.23 |
20230621 정배열 (0) | 2023.06.21 |
20230620 주식 공부 (0) | 2023.06.20 |
분양권 매매 관련 알아야 할 것들 (0) | 2023.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