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2

행안부 인구감소 지정지역 2021년 최조지정

부산(3)동구 서구 영도구대구(3)남구 서구 군위군인천(2)강화군 옹진군경기(2)가평군 연천군강원(12)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충북(6)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충남(9)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전북(10)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전남(16)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경북(15)고령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경남(11)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

지방소멸 2025.04.16

지방소멸의 매커니즘

1. 지방의  일자리 부족 - 농업 및 어업의 노동수요는 기계화 및 기술발전에 따라 점차 줄어들게 된다. 예를들어 예전에 10명이 며칠동안 하던 일을 요즘에 한 명이 트랙터를 사용해서 반나절 정도에 할수 있게 된다. 나머지 9명은 다른 일을 해야 한다.  - 일자리 부족에 더불어 레버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도 적어 사업적 기회요소도 적음 - 관광 등 특화 서비스업 역시 규모의 한계가 명확함. 호텔 등의 숙박 및 여행 서비스 시설이 일자리를 만들 수 있긴 하지만 그 규모가 제한적이다.  2. 지방의 높은 생활비지방에 거주하는 경의 의식주 비용이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 높은 교통비 : 도시에 비해 대중교통을 사용하기 어려워 상대적으로 높은 교통비를 부담해야 한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더라도..

지방소멸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