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10

패시브하우스를 지어야 하는 이유

패시브하우스의 장점은 아주 많다.에너지 소비 감소패시브하우스는 고성능 단열, 기밀 시공, 열 회수 환기 시스템 등을 사용해 냉난방 에너지 사용을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화석연료 사용이 줄고, 온실가스 배출도 크게 감소합니다. 온실가스 배출 저감전통적인 주택보다 CO₂ 배출량이 훨씬 적기 때문에 기후변화 대응에 효과적입니다. 주택 부문은 많은 양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데, 패시브하우스는 이를 근본적으로 줄이는 대안입니다. 지속 가능한 자원 사용패시브하우스는 수명이 길고 유지비가 적으며, 재생 가능 에너지(예: 태양광 패널)와 함께 사용할 경우 환경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주거 형태가 됩니다. 실내 공기 질 향상열 회수 환기 시스템으로 외부 공기를 효율적으로 들여오고 내부의 오염된 공..

기후위기 2025.04.14

기후위기솔루션 #4 사람이 배출한 이산화탄소가 가져온 기온상승

평균 기온상승세계 기상기구 (WMO)의 관측결과 지구의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후 꾸준이 올라 현재 1900년 대비하여 약 1.5도 상승했다고 한다. 전체 지구의 평균기온을 활용하여 더 더워진 지역도 많이 늘었다고 한다. 실제로 20년 전과 비교하여 유독 여름이 더워지고 있다.  https://greenium.kr/news/31498/?utm_source=chatgpt.com WMO “2023년 지구 기온, 174년만에 최고”…해양 열파·해수면 상승 속도 모두 ↑ | 그리니엄대기 중 주요 온실가스 농도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해수면 상승 속도 역시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남극 해빙 면적은 인공위성 관측 이후 최소치로 떨어졌습니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이같greenium.kr 평균 기온상승이 불러오는 효..

기후위기 2025.02.24

기후위기솔루션#3 에너지를 자립을 위한 주택

1월 전기요금이 많이 나와서 깜짝 놀랐다. 설명절이 끼어있어서 집을 잠시 비웠는데도 전기로 난방해서 그런가 전기 사용량이 작년 같은 달보다 30% 올라있었다. 평소에도 집에 아무것도 안하고 그냥 있는 상태에서 들어가는 돈이 너무 많은 것 같아 고민하던 차에 이와 관련된 에너지를 줄이는 방법을 고민해봤다. 주택이 현재 사용되는 에너지우선 패시브하우스가 아닌 현재 대부분의 주택이 사용하는 에너지량을 계산한다. 100제곱미터, 약30평 정도의 단독주택으로 설정하고, 날씨가 가장 따뜻한 제주도를 기준으로 하면 일년간 4,000 kWh 의 에너지가 냉방과 난방에 사용된다. 화석연료 발전으로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량은 약 2톤(한국의 경우 이산화탄소배출계수가  0.5 kg CO₂/kWh)이다.  패시브하우스로 건축하..

기후위기 2025.02.19

종이컵을 만들고 사용하고, 버린 후 태우면 발생하는 총 이산화탄소의 양은? 유리컵과 비교하면?

종이컵을 만들고 사용하고, 버린 후 태우면 발생하는 총 이산화탄소의 양은? 두 대표 인공지능에게 물어봤다. GPT가 추정한 내용 종이컵이 생산, 사용, 폐기되는 전 과정을 포함한 **탄소 배출량(Life Cycle Carbon Emission)**을 추정해 보겠습니다.1. 종이컵 생산 과정재료 채취 및 제조: 종이컵은 주로 나무 펄프와 얇은 플라스틱 코팅(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집니다.종이컵 1개 생산 시 약 0.07~0.1 kg CO₂ 배출.펄프 생산, 종이 가공, 화학 처리 등이 주요 배출원.2. 운송 및 유통제조 공장에서 유통 장소로 이동.종이컵 1개의 운송과정에서 약 0.01~0.02 kg CO₂ 추가 배출.3. 사용 및 폐기사용 단계: 종이컵을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직접적인 CO₂ 배출이 거의 없습..

기후위기 2024.12.19

에너지전환이 필요한 이유

푸른 지구는 마치 한 편의 시처럼 우리를 둘러싼 자연의 섬세한 조화로 완성됩니다. 그러나 이 아름다운 균형이 지금 깨지려는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화석연료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에 쏟아지고, 이로 인해 지구는 더 뜨겁게 달궈지고 있습니다. 바다와 산, 하늘과 대지는 점차 자신의 모습을 잃어가고, 우리가 숨쉬는 공기조차 무겁게 변하고 있습니다. 화석연료는 지구의 깊은 곳에서 수백만 년을 거쳐 만들어진 자원입니다. 그러나 그것을 태워 에너지를 얻는 동안 우리가 만들어낸 것은 단순한 연기뿐만이 아닙니다. 이는 우리에게 태풍, 가뭄, 빙하의 소멸, 그리고 점점 더 높아지는 바다를 남겼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마치 자연이 우리에게 보내는 마지막 경고처럼 느껴집니다. "멈추어야 한다"고. 그래서..

기후위기 2024.12.19

이산화탄소 평형을 계산해보기

지구 전체가 흡수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의 양 지구 전체 흡수량:총 흡수량=해양 흡수+식생 흡수+토양 흡수\text{총 흡수량} = \text{해양 흡수} + \text{식생 흡수} + \text{토양 흡수}총 흡수량=해양 흡수+식생 흡수+토양 흡수예를 들어:해양: 약 95억 톤 CO₂/년식생: 약 120억 톤 CO₂/년토양: 약 28억 톤 CO₂/년총 흡수량=95+120+28=243 억 톤 CO₂/년\text{총 흡수량} = 95 + 120 + 28 = 243 \, \text{억 톤 CO₂/년}총 흡수량=95+120+28=243억 톤 CO₂/년  각 화석연료가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의 양생산되는 화석연료는 어떤 방식으로든 모두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석유로 플라스틱 등 다른 제품을 만들더라도, 결국엔 소..

기후위기 2024.12.19

기후변화 대응은 전 세계가 국가적인 규모로 해야함

서론기후 변화와 이산화탄소(CO₂) 배출 문제는 더 이상 개별 국가나 개인의 문제로 국한되지 않는다.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탄소 배출은 산업화와 경제 성장의 부산물이며, 이는 대기 중에 축적되어 지구 온난화를 심화시키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이는 전체 탄소 배출량에서 매우 미미한 비중을 차지한다. 진정한 해결책은 국가와 전 세계가 협력하여 산업 구조, 에너지 생산, 교통 시스템 등 대규모 시스템을 혁신하는 데 있다. 이제 국가 단위에서 시스템적 접근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본론1. 에너지 시스템의 탈탄소화이산화탄소 배출의 가장 큰 원인은 화석연료 기반의 전력 생산이다. 석탄과 천연가스를 ..

기후위기 2024.12.17

기후위기 솔루션 #2 : 난방 혁신

전기 다음으로 이산화탄소를 많이 발생시키는 부분이 난방이다. 난방시에 이산화탄소의 발생을 줄이는 방법을 알아보자.1. 단열 강화단열이 개선되면 난방 에너지 사용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배출량 감소 효과가 큽니다.벽, 지붕, 창문에 단열을 강화하면 난방 에너지 사용량을 최대 30% 절감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난방으로 연간 1톤의 CO₂를 배출하는 가정이라면, 단열 강화만으로 약 300kg의 CO₂를 줄일 수 있습니다.2. 태양광 전기 사용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난방용 전기 또는 보일러 가동 전력을 태양광으로 대체하면 화석 연료를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가정용 태양광 발전으로 연간 약 1.5톤의 CO₂ 배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특히, **전력 소비량의 40~60%**를 태양광으로 대체한다고 가정하면 난방 에..

기후위기 2024.12.17

기후위기 솔루션 #1 : 전력시스템 혁신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는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가장 많이 나온다. 미국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의 40%가 전기 생산과정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전력시스템에서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먼저 알아봤다.현행 중앙집중형 전력시스템큰 발전소를 만들어서 대량의 전기를 만들어낸다. 대부분 물을 끓여서 커다란 터빈을 돌리는 방식이고 이 과정에서 에너지 효율 20~60% 정도에 해당하는 전기를 생산한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많은 전력은 각 지역으로 보내지는데 이 과정을 송전이라고 한다. 고전압의 송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역갈등과 주민들의 문제는 뒤로하더라도, 송전 과정에서 5~10%의 전력 손실이 추가로 발생한다. 이보다 심각한 손실이 있는데 사람들이 잘 이야기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바로 피크제로 발전을 유..

기후위기 2024.11.29

이산화탄소 배출과 지구온난화에 대해서

이산화탄소가 유발하는 지구 온난화 효과 지구 온난화에서 이산화탄소가 중요한 이유이산화 탄소를 배출하는 원인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줄이려면?  이산화탄소가 유발하는 지구 온난화 효과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비율은 0.04%로 420ppm 라고 합니다. 매년 2ppm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마우나로아 관측소에서 1950년대 최초로 측정한 값이 약 315ppm 이었다고 하네요  이산화탄소가 열을 잡아놓는 매커니즘 - 이산화탄소는 태양빛을 흡수해서 흡수한 열을 적외선 형태로 방출한다.  - 이산화탄소가 방출한 적외선은 다시 다른 이산화탄소가 흡수하고 모든 방향으로 방출한다. -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지구 대기를 벗어나는 열이 줄어들고, 온실효과를 만들어냄 이산화탄소의 온실효과  - '열을 잡아 놓는 매커니즘으로 보아..

기후위기 2024.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