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52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12월

12월 1일 무오주강(晝講)하였다. 홍기섭(洪耆燮)을 황해도 관찰사로 삼았으니, 특명으로 의망(擬望)에 넣은 것이었다. 이경재(李景在)를 형조 판서로 삼았다. 12월 2일 기미주강하였다. 12월 3일 경신조강(朝講)하였다. 석강(夕講)하였다. 12월 5일 임술약원(藥院)에서 희정당(熙政堂)에 입진(入診)하였다. 12월 6일 계해영의정 조인영(趙寅永)이 졸(卒)하였다. 하교(下敎)하기를,"정량(貞亮)047) 한 용자(容姿)와 신밀(愼密)한 규모(規模)로써 일에 임해서는 조심하며 두려워하고 집에 있어서는 검소하고 절약하였으며 나라를 걱정하고 집안 일을 잊음이 종시토록 간절하였으니, 내가 보고 듣는 바로는 이와 같은 대신이 있지 않았다. 더구나 문학의 유창(流暢)함과 재유(才猷)의 숙달(熟達)됨은 오늘날 찾..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11월

11월 1일 기축정기세(鄭基世)를 이조 참의로, 김좌근(金左根)을 예조 판서로, 홍열모(洪說謨)를 충청도 관찰사로, 조기영(趙冀永)을 의정부 좌참찬으로 삼았다. 우의정 권돈인(權敦仁)이 재차 상소하여 사직하였으나, 비답을 내려 윤허하지 않았다. 11월 3일 신묘희정당(熙政堂)에서 차대(次對)하여 성학(聖學)에 힘쓰고 사치를 금하며 상작(賞爵)에 절제(節制)가 있어야 함을 논하였는데, 영의정 조인영(趙寅永)이 아뢴 것이었다. 서북(西北)의 선전관(宣傳官)에 천거한 무사를 나누어 시재(試才)하는 일을 명하였으니, 대신과 장신(將臣)의 의논에 의한 것이었다. 11월 5일 계사경연(經筵)에 명하여 아무 날이고 우상의 숙명(肅命)을 기다렸다가 아뢰라고 하였다. 11월 6일 갑오소대하였다. 11월 7일 을미조강(朝..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10월

10월 1일 기미진강하였다. 10월 2일 경신진강하였다. 10월 3일 신유진강하였다. 태백성(太白星)이 나타났다. 10월 4일 임술진강하였다. 영의정 정원용(鄭元容)이 상소하여 사직하였으나, 비답을 내려 윤허하지 않았다. 10월 5일 계해희정당(熙政堂)에서 약원(藥院)의 입진(入診)과 진강(進講)을 하였다. 태백성이 나타났다. 10월 6일 갑자진강하였다. 영부사 조인영(趙寅永)과 판부사 권돈인(權敦仁)을 다시 상신(相臣)에 제배(除拜)하라 명하였다. 조석우(曺錫雨)를 이조 참판으로 삼았다. 10월 7일 을축진강하였다. 10월 8일 병인진강하였다. 10월 9일 정묘진강하였다. 태백성이 나타났다. 10월 10일 무진진강하였다. 유상필(柳相弼)을 훈련 대장으로, 김좌근(金左根)을 금위 대장(禁衛大將)으로, 홍..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9월

9월 2일 경인김병기(金炳冀)를 예조 참판으로 삼았으니, 중비(中批)였다. 9월 4일 임진태백성(太白星)이 나타났다. 9월 5일 계사김위(金鍏)를 사헌부 대사헌으로, 이학수(李鶴秀)를 형조 판서로, 권대긍(權大肯)을 한성부 판윤으로 삼았다. 9월 6일 갑오태백성이 나타났다. 9월 7일 을미이가우(李嘉愚)를 예조 판서로 삼았다. 원내(院內)에 있는 승지를 불러 보았다. 9월 8일 병신인정전(仁政殿)에서 추도기(秋到記)를 행하였다. 강경(講經)으로 유학 임헌대(任憲大)와 부(賦)로 유학 박효정(朴孝正)을 모두 직부 전시(直赴殿試)하게 하였다. 9월 10일 무술약원에서 희정당에 입진하였다. 이기연(李紀淵)을 판의금부사로, 구장화(具鏘和)를 전라우도 수군 절도사로 삼았다. 9월 11일 기해춘당대(春塘臺)에 나아..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8월

8월 2일 신유민치성(閔致成)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삼았다. 8월 4일 계해도총관 이학수(李鶴秀)가 상소하여 자열(自列)하니, 비답하기를,"전후의 자교(慈敎)가 경에게는 유감이 없을 것이요, 이번 정경(正卿)의 직질(職秩)은 경을 위해 오래 마련해 둔 자리이니, 다시 머뭇거리지 말고 곧바로 명을 공경하여 받들라."하였다. 8월 5일 갑자약원에서 희정당에 입진하였다. 8월 6일 을축소대하였다. 8월 7일 병인소대하였다. 8월 10일 기사소대하였다. 8월 11일 경오약원 제조(藥院提調) 이기연(李紀淵)이 현(縣)·도(道)를 거쳐 상소하여 자열(自列)하니, 비답하기를,"경에게 약원의 소임을 맡긴 것은 그 뜻이 어찌 예사로운 것인가? 이 자리는 나올 수는 있어도 물러갈 수는 없는 곳이니, 자성(慈聖)께서 경을 생..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7월

7월 3일 계사4대문(四大門)에서 영제(禜祭)023) 를 지냈다. 7월 5일 을미약원(藥院)에서 희정당(熙政堂)에 입진(入診)하였다. 이노병(李魯秉)을 이조 판서로, 이유원(李裕元)을 이조 참의로 삼았다. 7월 6일 병신소대(召對)하였다. 7월 7일 정유소대하였다. 7월 8일 무술소대하였다. 7월 10일 경자안치 죄인(安置罪人) 이승헌(李承憲)을 석방하였다. 원의(院議)로 아뢰기를,"빨리 성명(成命)을 거두시기를 청합니다."하니, 비답하기를,"그 일은 상소의 어구(語句)를 잘 살펴보지 않은 까닭에 불과하다. 이번에 석방함이 어찌 생각치 않고 한 일이겠는가? 쟁집(爭執)할 것 없이 곧바로 반포하라."하였다. 옥당에서 연차(聯箚)하여 【부응교 조운경(趙雲卿), 교리 김유연(金有淵)·정유(鄭鎏), 부교리 김..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6월

6월 1일 신유진전(眞殿)에 나아가 전배(展拜)하고, 이어 효정전(孝定殿)에 나아가 주다례(晝茶禮)를 행하였다. 6월 4일 갑자효정전에 나아가 저녁 상식을 행하였다. 6월 5일 을축효정전에 나아가 아침 상식, 주다례, 저녁 상식을 행하였다. 6월 6일 병인효정전에 나아가 연제(練祭)를 행하였다. 연주 도감(練主都監)의 당상관·낭관 및 혼전(魂殿)의 향관(享官), 산릉의 수릉관(守陵官)·시릉관(侍陵官) 이하의 관원에게 차등을 두어 시상하였다. 제주관(題主官) 호군 서영순(徐英淳), 연주 출납(練主出納) 욕주(浴主) 대축(大祝) 부사과 유치선(兪致善), 종척 집사(宗戚執事) 영평군(永平君) 이욱(李昱), 향관(享官) 부호군 조병기(趙秉夔)에게는 모두 가자(加資)하였다. 6월 7일 정묘약원에서 희정당에 입진하..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5월

5월 2일 계사지돈녕(知敦寧) 이휘정(李輝正)이 상소하여 치사(致仕)하기를 바라니, 비답하기를,"기구(耆舊) 대신이 물러나기를 구하는 것부터가 슬픈 일이긴 하나, 상정(常情)의 간곡함이 이와 같으니 부득이 따르겠다."하였다. 황해 병사 이기연(李紀淵)에게 업무를 잘 보살피라고 신칙하였으니, 사정으로써 형세가 폐무(廢務)하게 되었다 하여 교체해 달라는 계사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5월 4일 을미좌승지 이인고(李寅皐)가 현(縣)·도(道)를 거쳐 상소하여 체직(遞職)하기를 바라니, 비답하기를,"선경(先卿)의 일은 조정의 처분이니, 유명간(幽明間)에 유감이 없어야 할 것이다. 너는 곧바로 올라와 명(命)에 따르라."하였다. 이돈영(李敦榮)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강기(姜𣹡)를 사간원 대사간으로, 이휘정(李輝正)을..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4월

4월 1일 계해모화관(慕華館)에 나아가 칙사를 전송하였다. 전 함경 감사 박영원(朴永元)을 불러 보았다. 4월 2일 갑자오취선(吳取善)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삼았다. 대왕 대비가 하교하기를,"이기연(李紀淵)의 정배를 분간(分揀)하여 황해 병사를 보외(補外)의 예(例)로 시행하되, 조사(朝辭)는 생략하고 교귀(交龜)019) 하게 하라."하였다. 4월 4일 병인춘당대(春塘臺)에 나아가 춘도기(春到記)를 행하였다. 강경(講經)으로 유학(幼學) 박난수(朴蘭壽)와 부(賦)로 진사 조태순(趙台淳)을 모두 직부 전시(直赴殿試)하게 하였다. 이민덕(李敏德)을 함경북도 병마 절도사로 삼았다. 4월 5일 정묘약원에서 희정당에 입진하였다. 이어 입격(入格)한 유생(儒生)들을 불러 보았다. 소대하였다. 이희장(李熙章)을 경상..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3월

3월 1일 계사진강(進講)하였다. 평안도 청남 암행 어사(平安道淸南暗行御史) 이삼현(李參鉉)을 불러 보았으니, 은산(殷山) 전(前) 현감 박재선(朴齋璿), 삼화 부사(三和府使) 이용준(李容駿), 평양 서윤(平壤庶尹) 조면호(趙冕鎬), 증산 현령(甑山縣令) 이노재(李魯宰), 강서 현령(江西縣令) 서기보(徐箕輔), 맹산 현감(孟山縣監) 위종민(魏鍾敏), 맹산 전전 현감 정학권(鄭學權), 중화(中和) 전전 부사 김일구(金一求), 개천(价川) 전 군수 이희민(李熙敏), 개천 전 군수 백낙정(白樂貞), 상원(祥原) 전 군수 윤석구(尹錫九), 강동(江東) 전 현감 송주헌(宋柱獻)을 죄주어야 한다고 서계(書啓)한 때문이었다. 3월 2일 갑오진강하였다. 소대(召對)하였다. 3월 3일 을미진강하였다. 소대하였다. 의주 ..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2월

2월 1일 갑자진전(眞殿)에 나아가 전배(展拜)하였다. 진강(進講)하였다. 전교하기를,"양암(諒闇)006) 중에 선대의 능침을 전알(展謁)하는 것이 비록 상례(常禮)는 아니나, 금년은 우리 순조(純祖)께서 탄강(誕降)하신 해이다. 나 소자(小子)의 추원(追遠)하는 마음을 어떻게 형용하겠는가? 마땅히 인릉(仁陵)에 나아가 몸소 제사지내고 정례(情禮)를 펴야 하겠다."하였다. 소대(召對)하였다. 김학성(金學性)을 광주부 유수(廣州府留守)로, 조원석(趙元錫)을 평안도 병마 절도사로 삼았다. 2월 2일 을축진강하였다. 소대하였다. 서희순(徐憙淳)을 호조 판서로, 오현문(吳顯文)을 함경남도 병마 절도사로 삼았다. 2월 3일 병인진강하였다. 소대하였다. 예조에서 아뢰기를,"건원릉(健元陵)·원릉(元陵)·인릉(仁陵..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1월

1월 1일 갑오일식(日蝕)이 있었다. 진전(眞殿)에 나아가 전배(殿拜)하였다. 1월 2일 을미전(前) 장령(掌令) 강계우(姜繼遇)가 소를 올리니, 비답하기를,"10개조의 아뢴 바를 내가 가납(嘉納)하겠다."하였다. 이가우(李嘉愚)를 의정부 우참찬으로, 정하응(鄭夏應)을 전라도 병마 절도사로, 이조연(李肇淵)을 전라좌도 수군 절도사로 삼았다. 의주 부윤(義州府尹) 이유원(李裕元)이 황태후(皇太后)가 붕서(崩逝)하였다고 치계(馳啓)하였다. 1월 3일 병신소대(召對)하였다. 1월 4일 정유소대하였다. 강계우(姜繼遇)를 병조 참지로 삼았으니, 중비(中批)001) 였다. 1월 5일 무술소대하였다. 1월 6일 기해종묘에 나아가 전알(殿謁)하고, 인하여 경모궁(景慕宮)에 나아가 전배(殿拜)하였는데, 춘알(春謁)이었..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4년 1911년 12월

12월 1일 양력【음력 신해년(辛亥年) 10월 초9일】 후작(侯爵) 윤택영(尹澤榮)에게 황마거(幌馬車) 1대(臺)를 내렸다.【원본】 6책 2권 12장 A면【국편영인본】 3책 569면【분류】교통-마정(馬政) / 왕실-사급(賜給)후작(侯爵) 윤택영(尹澤榮)에게 황마거(幌馬車) 1대(臺)를 내렸다. 12월 2일 양력이왕직 사무관(李王職事務官)을 파견하여 총독부(總督府) 농상공부(農商工部) 출장원들이 각릉(各陵) 각원(各園) 각묘(各墓)의 경계를 정하고 조정할 때 입회하게 하였다. 【광릉(光陵), 경릉(敬陵), 창릉(昌陵), 온릉(溫陵), 희릉(禧陵), 태릉(泰陵), 효릉(孝陵), 강릉(康陵), 명릉(明陵), 익릉(翼陵), 홍릉(弘陵), 예릉(睿陵), 순창원(順昌園), 순강원(順康園), 소경원(昭慶園), 소녕원..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4년 1911년 11월

11월 3일 양력【음력 신해년(辛亥年) 9월 13일】  총독 관저에 행계(行啓)하여 천장절(天長節) 축하를 아뢰어 주도록 부탁하였다.【원본】 6책 2권 11장 B면【국편영인본】 3책 568면【분류】왕실-국왕(國王)총독 관저에 행계(行啓)하여 천장절(天長節) 축하를 아뢰어 주도록 부탁하였다. 11월 7일 양력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에게 주식(周式)의 빙함(氷鑑)과 원다관(圓茶罐) 각 1개(箇)를 증여(贈與)하였다. 동경 보지신문사(報知新聞社)원(員) 다케다 다쿠지〔武田卓爾〕가 《명치상공사(明治商工史)》 1부(部)를 진상(進上)하였다. 11월 9일 양력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가 토쿄〔東京〕에 갈 때 찬시(贊侍) 자작(子爵) 윤덕영(尹德榮)을 남대문역에..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4년 1911년 10월

10월 10일 양력【음력 신해년(1911) 8월 22일】  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가 황모자 앵무(黃帽子鸚鵡) 1수(首)를 바쳤다. 또 왕비(王妃)에게는 작은 새 롱(籠)을, 덕수궁(德壽宮)에는 태백 앵무(太白鸚鵡) 1수를 바쳤다.【원본】 6책 2권 11장 A면【국편영인본】 3책 568면【분류】왕실-국왕(國王) / 재정-진상(進上)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가 황모자 앵무(黃帽子鸚鵡) 1수(首)를 바쳤다. 또 왕비(王妃)에게는 작은 새 롱(籠)을, 덕수궁(德壽宮)에는 태백 앵무(太白鸚鵡) 1수를 바쳤다. 10월 13일 양력덕수궁(德壽宮)에 나아가 근알(覲謁)하고 조선 총독(朝鮮總督) 관저(官邸)에 나아갔다. 이왕직 속(李王職屬) 가토 헤이지〔加藤兵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