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일 양력
【음력 신해년(1911) 7월 9일】 왕세자에게 전보로 칙유(勅諭)하기를, "유년학교(幼年學校)의 예과(豫科)에 입학한 것은 지대한 영광이다. 앞으로 더욱더 학업에 힘써서 기어코 성은(聖恩)에 보답하라." 하였다.
【원본】 6책 2권 10장 A면【국편영인본】 3책 568면
【분류】왕실-종친(宗親) / 교육-인문교육(人文敎育)
왕세자에게 전보로 칙유(勅諭)하기를,
"유년학교(幼年學校)의 예과(豫科)에 입학한 것은 지대한 영광이다. 앞으로 더욱더 학업에 힘써서 기어코 성은(聖恩)에 보답하라."
하였다.
덕수궁(德壽宮) 이 귀인(李貴人)의 수당(手當)을 매월 금(金) 300원(圓)으로 늘려 정하도록 명하였다. 귀인(貴人)은 일찍이 승은(承恩)을 입어 옹주(翁主)를 낳았는데 요절하였다. 이리하여 엄비(嚴妃)가 대신하여 입궁하였다.
9월 2일 양력
찬시(贊侍) 자작(子爵) 윤덕영(尹德榮)을 총독부에 보냈다. 이번에 왕세자(王世子)가 유년학교(幼年學校)에 입학할 때 천황 폐하(天皇陛下)가 어과자(御菓子) 1타(打)를 하사하고 칙어(勅語)로써 중히 여겼기 때문에 두터운 은혜에 감사하는 뜻을 정무총감(政務總監)에게 아뢰어 주도록 부탁하였다.
9월 4일 양력
대조전(大造殿)에서 이왕직 장관(李王職長官) 자작(子爵) 민병석(閔丙奭)을 소견(召見)하였다. 토쿄〔東京〕에서 귀임(歸任)하였기 때문이다.
찬시(贊侍) 서병협(徐丙協)을 보내어 남대문역에 나아가 신임 군사령관(軍司令官) 우에다 아리사와〔上田有澤〕를 맞이하도록 하였다.
9월 5일 양력
선정전(宣政殿)에서 전 군사령관(軍司令官) 오쿠보 하루노〔大久保春野〕와 신임 군사령관(軍司令官) 우에다 아리사와〔上田有澤〕를 접견하였다. 오쿠보 하루노에게 은으로 만든 주식정(周式鼎) 1개(箇)를 전별로 주고는 이어 인정전(仁政殿)에서 오찬(午餐)을 베풀었다. 이강 공(李堈公), 이희 공(李熹公), 정무총감(政務總監) 야마가타 이사부로〔山縣伊三郞〕 육군 대장 오쿠보 하루노, 군사령관 우에다 아리사와 이하 각국(各局)과 부(部)의 장(長) 및 중추원 고문(中樞院顧問) 귀족, 이왕직 장관(李王職長官) 이하도 함께 배식(配食)하였다.
9월 6일 양력
찬시(贊侍) 자작(子爵) 윤덕영(尹德榮)을 남대문역에 보내어 육군 대장(陸軍大將) 오쿠보 하루노〔大久保春野〕가 교체되어 동경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게 하였다. 찬시 남작(男爵) 김춘희(金春熙)도 태왕 전하(太王殿下)의 명을 받들어 전담해 가서 전송하였다.
9월 8일 양력
덕수궁(德壽宮)에 나아가 근알(覲謁)하였다. 왕비(王妃)도 따라 나아갔다. 태왕 전하(太王殿下)의 육순(六旬) 탄신일이었기 때문이다.
태왕 전하(太王殿下)가 함녕전(咸寧殿)에 나아가 이강 공(李堈公) 이희 공(李熹公) 이하 종척(宗戚), 귀족(貴族), 기로(耆老) 및 이왕직 고등관(李王職高等官) 등의 축하를 받고나서 오찬(午餐)을 내렸다.
태왕 전하(太王殿下)를 모시고 중화전(中和殿)에 나아가 쇼쿄쿠사이 덴카쓰〔松旭齋天勝〕의 재주 시범을 관람하였다. 종척(宗戚), 중추원 고문(中樞院顧問), 이왕직 고등관 및 그 부인들도 관람하였다. 창덕궁(昌德宮)에서 만찬(晩餐)을 준비하였다. 귀족과 이왕직 고등관에게는 기념품을 하사하고, 판임관(判任官) 이하에게는 주찬료(酒饌料)를 차등 있게 지급하고, 천승(天勝) 등 직물 1권(卷)과 은병(銀甁) 2개(箇) 및 금(金) 500원(圓)을 상으로 하사하였다.
9월 9일 양력
원 종2품 이재윤(李載允)의 상(喪)에 금(金) 300원(圓)을 특별히 내렸다.
사무관(事務官) 고희경(高羲敬)에게 고(故) 자작(子爵) 소네 아라스케〔曾禰荒助〕의 1주기 제사에 참렬(參列)하고 향화료(香花料) 100원(圓)을 주라고 명하였다.
9월 13일 양력
원빈묘 사무(元嬪墓事務)에게 정릉 참봉(貞陵參奉)을, 완왕묘 사무(完王墓事務)에게 홍릉 참봉(洪陵參奉)을 겸장(兼掌)하라고 명하였다.
찬시(贊侍) 자작(子爵) 윤덕영(尹德榮)을 보내어 남산(南山) 본원사(本願寺)에서 열리는 고(故) 자작(子爵) 소네 아라스케〔曾禰荒助〕의 추도회에 참렬(參列)하게 하였다. 덕수궁(德壽宮)에서는 찬시 남작(男爵) 김춘희(金春熙)를 보내어 참렬하게 하였다.
9월 19일 양력
흥복헌(興福軒)에서 종척(宗戚), 귀족(貴族), 이왕직 장관(李王職長官) 이하를 인견(引見)하였다. 왕비(王妃)도 대조전(大造殿)에서 인견하였다. 왕비의 탄신을 축하하기 위해서이다. 이어 인정전(仁政殿) 동행각(東行閣)에서 내연(內宴)을 베풀었는데 종척, 귀족 및 이왕직 고등관과 그들의 부인까지 230인(人)이 배참(陪參)하였다. 연회가 끝난 후에 또 주합루(宙合樓)에서 이왕직 판임관과 고원(雇員)들에게 주찬(酒饌)을 내렸다.
경리 주임(經理主任) 니나가와 아라타〔蜷川新〕, 능무(陵務) 주임(主任) 무라카미 유키치〔村上龍吉〕, 함경남도(咸鏡南道) 도청(道廳) 직원 등을 파견하여 함흥(咸興), 영흥(永興), 덕원(德源), 안변(安邊) 등지에 있는 팔릉(八陵) 및 전궁(殿宮)과 비각(碑閣)의 경계를 조사할 때 입회하도록 명하였다.
9월 21일 양력
덕수궁(德壽宮)에 나아가 근알(覲謁)하였다. 왕비(王妃)도 따라 나아갔다. 이어 덕안궁(德安宮)의 삭전(朔奠)을 친히 행하였다.
덕안궁(德安宮)과 영휘원(永徽園)에 천신(薦新)하는 물품은 전례대로 종묘(宗廟)에 천신(薦新)하는 물품 중에서 햇미역〔早藿〕, 미나리〔水芹〕, 수어(秀魚), 산 토끼〔生兎〕를 빼고 진공(進供)하는 것으로 정하라고 명하였다.
9월 26일 양력
총독부(總督府) 기사(技師) 이와다 지로〔岩田次郞〕에게 은으로 만든 주식(周式)의 귀 뚫린 항아리 1개(箇)를 하사하였다. 왕비 전하(王妃殿下)가 몸소 누에를 칠 때 열심히 일했기 때문이다.
'한국사 공부 > 조선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4년 1911년 11월 (0) | 2025.02.07 |
---|---|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4년 1911년 10월 (0) | 2025.02.07 |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4년 1911년 8월 (0) | 2025.02.07 |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4년 1911년 7월 (0) | 2025.02.07 |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4년 1911년 6월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