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일 양력
【음력 갑인년(甲寅年) 9월 15일】 인원을 파견하여 공사가 끝났다고 보고한 동구릉(東九陵) 내의 수리한 곳을 검사하라고 명하였다.
【원본】 6책 5권 10장 B면【국편영인본】 3책 583면
【분류】왕실-종사(宗社) / 건설-토목(土木)
인원을 파견하여 공사가 끝났다고 보고한 동구릉(東九陵) 내의 수리한 곳을 검사하라고 명하였다.
이왕직(李王職)에서 가지고 있는 조선우선회사(朝鮮郵船會社) 주식(株式)의 제3기 배당금 2,100원을 경리실로부터 수령하였다.
11월 3일 양력
총독(總督) 부무관(附武官) 이와무라 단지로〔岩村團次郞〕에게 토쿄〔東京〕로 전임하여 부임하기 때문이었다. 덕수궁(德壽宮)에서도 모란단(牧丹緞) 2권(卷)을 내렸다.
특별히 자작(子爵) 민영소(閔泳昭)에게 일금 200원을 내렸다. 그의 처 정경 부인(貞敬夫人) 곽씨(郭氏)의 회갑(回甲)이었기 때문이다.
11월 5일 양력
식물원 본관(植物園本館)에 거둥하여 오찬(午餐)을 열었다. 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 정무 총감(政務總監) 야마가타 이사부로〔山縣伊三郞〕, 군사령관(軍司令官) 안도 사다미〔安東貞美〕 이하 각 부 장관(長官), 각 국장(局長), 조선은행 총재(朝鮮銀行總裁), 동양척식주식회사 총재(東洋拓植株式會社總裁), 부총재(副總裁), 고등법원장(高等法院長), 의원장(醫院長), 각 도 장관(各道長官) 및 이준 공(李埈公), 귀족(貴族) 여러 사람과 이왕직 장관(李王職長官), 고등관(高等官) 등이 배식(陪食)하였다.
태왕 전하(太王殿下)가 덕홍전(德弘殿)에서 군사령관(軍司令官) 안도 사다미〔安東貞美〕를 접견하였다. 대연습(大演習)을 참관하러 미리 오오사카〔大阪〕에 가기 때문이다.
남작(男爵) 조동윤(趙東潤)을 소견(召見)하였다. 토쿄〔東京〕에서 돌아와 왕세자(王世子)의 안부를 품달(稟達)하였기 때문이다.
이왕직(李王職) 고용원의 정원 및 봉급액을 개정하였다.
11월 7일 양력
부무관(附武官) 강필우(康弼祐)를 용산역(龍山驛)에 보내고, 덕수궁(德壽宮)에서도 찬시(贊侍) 이성묵(李聖默)을 보내어 군사령관(軍司令官) 안도 사다미〔安東貞美〕가 오오사카〔大阪〕 지방의 대연습(s大演習)에 참관하러 가는 것을 전송하였다.
사무관(事務官) 현백운(玄百運)을 남대문역(南大門驛)에 보내어 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가 원산(元山)에 출장가는 것을 전송(餞送)하였다.
청도(靑島)가 함락되었다. 총독부(總督府)에서 참모 차장(參謀次長)의 전보에 의하여 이왕직(李王職)에 통지하였다. 그 전문(電文)에,
"우리의 공위군(攻圍軍)은 적의 중앙 보루 및 좌우 양 보루를 점령하고 이어 양 포대(砲臺)가 우리의 수중에 돌아오니 적이 드디어 백기를 들었다."
하였다.
특별히 엽우경기대회(獵友競技大會)에 상금 50원을 내렸다. 해당 대회에서 사냥한 메추라기와 꿩을 진헌(進獻)하였다.
11월 8일 양력
전 사무관(事務官) 쓰가루 히데마로〔津輕英麿〕가 토쿄〔東京〕로 전임되어 가니 주어유식 은제 화병(周魚卣式銀製花甁) 1개를 내렸다. 덕수궁(德壽宮)에서도 고려식 은제 화병(高麗式銀製花甁) 1개를 내렸다.
11월 9일 양력
후작(侯爵) 이해창(李海昌)을 보내어 선원전(璿源殿)을 봉심(奉審)하라고 명하였다. 정조 선황제(正祖宣皇帝)의 탄신일이었기 때문이다.
이왕직 장관(李王職長官) 자작(子爵) 민병석(閔丙奭)을 경성 신사(京城神社)에 보내어 청도 함락 봉고제(靑島陷落奉告祭)를 행할 때 참례하게 하고 양궁(兩宮)에서 각기 폐백료(幣帛料)를 바쳤다.
이왕직 장관(李王職長官) 자작(子爵) 민병석(閔丙奭)을 총독 관저(官邸)에 보내어 청도(靑島) 함락의 축사를 아뢰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양궁(兩宮)에서 전첩회(戰捷會)에 일금 200원을 내렸다. 【경희궁(慶熙宮) 내에서 개최되었다.】
【원본】 6책 5권 11장 A면【국편영인본】 3책 583면
【분류】왕실-사급(賜給) / 왕실-종사(宗社) / 금융-화폐(貨幣)
11월 10일 양력
사무관(事務官) 현백운(玄百運)을 부산역(釜山驛)에 보내고 태왕 전하(太王殿下)도 찬시(贊侍) 남작(男爵) 김춘희(金春熙)를 남대문역(南大門驛)에 보내어 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가 육군 대연습에 참관하기 위하여 토쿄〔東京〕에 가는 것을 전송하였다.
동구릉(東九陵)의 도로와 교량, 헌릉(獻陵), 융릉(隆陵), 건릉(健陵)의 홍살문(紅箭門)의 개건(改建)에 드는 재목은 각릉(各陵) 및 화산(花山)의 삼림 중에서 취용(取用)하라고 명하였다.
11월 13일 양력
총독부 부무관(總督府附武官) 해군 대좌(海軍大佐) 모리 요시오미〔森義臣〕가 양궁(兩宮)에 알현하였다. 그가 새로 임용되었기 때문이다.
11월 15일 양력
인원을 파견하여 헌릉(獻陵)의 홍살문(紅箭門)을 수리하라고 명하였다. 썩어 손상되었기 때문이다.
11월 16일 양력
후작(侯爵) 이재각(李載覺)에게 선원전(璿源殿)을 봉심(奉審)하라고 명하였다. 영조 대왕(英祖大王)의 탄신일이었기 때문이다.
사무관(事務官) 하야시 조타로〔林丈太郞〕를 수원군(水原郡)에 보내어 이왕직(李王職)의 종마 목장 예정지를 시찰하도록 하였다.
11월 19일 양력
융릉(隆陵)과 건릉(健陵)에 나아가 전알(展謁)하였다.
대정(大正) 4년도 예산이 세입경상부(歲入經常部) 합계 162만 5,000원, 【세비 수입 150만원, 전년도 이월금 7만원, 삼림 수입 3만원, 잡수입 2만 5,000원이다.】 세출경상부(歲出經常部) 합계 144만 9,500원, 세출임시부(歲出臨時部) 17만 5,500원으로 편성되었다.
11월 20일 양력
특별히 자작(子爵) 조중응(趙重應)에게 일금 300원을 내렸다. 덕수궁(德壽宮)에서도 200원을 내렸다. 그 처의 상(喪) 때문이다.
11월 22일 양력
천황 폐하가 대연습지(大演習地)로부터 돌아왔다. 부무관(附武官)인 자작(子爵) 이병무(李秉武)를 총독 관저(官邸)에 보내고 덕수궁(德壽宮)에서도 찬시(贊侍)인 남작(男爵) 김춘희(金春熙)를 보내어 문후 인사를 전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11월 24일 양력
덕수궁(德壽宮)에 나아가 근알(覲謁)하고 이어 선원전(璿源殿)과 경효전(景孝殿)에 나아가 전알(展謁)하였다.
11월 25일 양력
사무관(事務官) 현백운(玄百運)을 부산역(釜山驛)에 보내어 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를 맞이하도록 하였다. 귀임(歸任)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도 창덕궁의 비용 및 덕수궁(德壽宮)의 비용 중 임시용(臨時用) 돈의 부족액 1만원을 세비의 예비금 중에서 지출하라고 명하였다.
인원을 파견하여 장릉(長陵)의 홍살문(紅箭門) 개건(改建)하라고 명하였다. 바람에 전복(顚覆)되었기 때문이다.
11월 26일 양력
찬시(贊侍)인 자작(子爵) 윤덕영(尹德榮)을 남대문역(南大門驛)에 보내고, 덕수궁(德壽宮)에서도 찬시인 남작(男爵) 김춘희(金春熙)를 보내어 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의 귀임을 맞이하게 하였다.
이왕직 사무관(李王職事務官) 무라카미 유키치〔村上龍吉〕에게 덕수궁(德壽宮)의 업무를 겸하라고 명하였다.
11월 27일 양력
특별히 충정공(忠正公) 민영환(閔泳煥)의 집에 일금 100원을 내렸다. 그 딸의 혼인이 있었기 때문이다.
11월 28일 양력
후작(侯爵) 이해승(李海昇)에게 선원전(璿源殿)을 봉심(奉審)하라고 명하였다. 태조 고황제(太祖高皇帝)의 탄신일이었기 때문이다.
개성보승회(開城保勝會)에 일금 400원을 내렸다.
이왕직 속(李王職屬) 송상열(宋商說)을 이왕직 사무관(李王職事務官)에 임용하고 고등관(高等官) 7등에 서임하였다.
11월 29일 양력
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가 양궁(兩宮)에 과일을 바쳤다.
11월 30일 양력
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와 해군 대좌(海軍大佐) 모리 요시오미〔森義臣〕, 부관(副官) 오후지 나오카즈〔大藤直一〕가 귀임하여 알현하므로 접견하였다. 덕수궁(德壽宮)에도 알현하였다.
'한국사 공부 > 조선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종실록부록6권, 순종8년 1915년 1월 (0) | 2025.02.10 |
---|---|
순종실록부록5권, 순종7년 1914년 12월 (0) | 2025.02.09 |
순종실록부록5권, 순종7년 1914년 10월 (0) | 2025.02.09 |
순종실록부록5권, 순종7년 1914년 9월 (0) | 2025.02.09 |
순종실록부록5권, 순종7년 1914년 8월 (1)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