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조선왕조실록

철종실록5권 철종4년 1853년 9월

싸라리리 2025. 4. 30. 09:12
반응형

9월 1일 계묘

일강하였다.

 

9월 2일 갑진

일강하였다.

 

9월 3일 을사

일강하였다.

 

9월 4일 병오

일강하였다.

 

9월 5일 정미

일강하였다.

 

9월 6일 무신

일강하였다.

 

9월 7일 기유

일강하였다.

 

9월 8일 경술

일강하였다.

 

찬배한 죄인(罪人) 김진형(金鎭衡)을 방면하라고 명하였다.

 

9월 10일 임자

일강하였다. 황해 감사(黃海監司)                     김영근(金泳根)을 소견(召見)하였으니, 사폐(辭陛)한 때문이었다.

 

이공익(李公翼)을 이조 참판으로 삼았다.

 

9월 11일 계축

일강하였다.

 

9월 12일 갑인

일강하였다.

 

9월 13일 을묘

일강하였다.

 

이유응(李裕膺)을 이조 참의로 삼았다.

 

9월 14일 병진

신석우(申錫愚)를 성균관 대사성으로 삼았다.

 

9월 15일 정사

일강하였다.

 

전 황해 감사                     김위(金鍏)를 소견(召見)하였다.

 

희정당(熙政堂)에서 약원(藥院)의 입진(入診)과 차대(次對)를 행하였다. 영의정                     김좌근(金左根)이 아뢰기를,
"유현(儒賢)을 돈소(敦召)하여 자목지관(字牧之官)으로써 시험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9월 16일 무오

일강하였다. 하교하기를,
"문충공(文忠公) 김수항(金壽恒)·충헌공(忠獻公) 김창집(金昌集) 양세(兩世)의 사판(祠版)이 바야흐로 사손(祀孫)의 임소(任所)에 향하였다고 하니, 입성(入城)하는 날에 승지를 보내어 치제(致祭)하게 하라."
하였다.

 

9월 17일 기미

일강(日講)하여 《시전(詩傳)》 제5권을 강론하였다.

 

9월 18일 경신

일강하였다.

 

9월 19일 신유

일강하였다.

 

회환(回還)한 진하 겸 사은사(進賀兼謝恩使)를 소견(召見)하였다.

 

9월 20일 임술

일강하였다.

 

9월 21일 계해

일강하였다.

 

9월 22일 갑자

진전(眞殿)에 나아가 다례(茶禮)를 행하였다.

 

일강하였다.

 

9월 24일 병인

일강하였다.

 

9월 25일 정묘

일강하였다.

 

9월 26일 무진

일강하였다.

 

9월 27일 기사

일강하였다.

 

9월 28일 경오

일강하였다.

 

9월 29일 신미

일강하였다.

 

이겸재(李謙在)를 이조 참판으로 삼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