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조선왕조실록

철종실록5권 철종4년 1853년 10월

싸라리리 2025. 4. 30. 09:18
반응형

10월 1일 임신

인정전(仁政殿)에 나아가 태묘(太廟) 동향(冬享)의 서계(誓戒)를 행하였다.

 

일강하였다.

 

10월 2일 계유

일강하였다.

 

소대(召對)하였다.

 

10월 3일 갑술

일강하였다.

 

10월 4일 을해

소대하였다.

 

이경재(李景在)를 평안도 관찰사로 삼았다.

 

10월 5일 병자

희정당(熙政堂)에서 약원(藥院)의 입진(入診)과 일강을 행하였다.

 

김수근(金洙根)을 병조 판서로 삼았다.

 

소대하였다.

 

10월 7일 무인

종묘(宗廟)에 나아가 재숙(齋宿)하였다.

 

10월 8일 기묘

종묘(宗廟)의 동향(冬享)을 행하고, 익종 대왕(翼宗大王)·헌종 대왕(憲宗大王)·효현 왕후(孝顯王后)의 추상 존호(追上尊號) 책보(冊寶)를 올렸다.

 

10월 9일 경진

인정전(仁政殿)에 나아가 왕대비전(王大妃殿)·대비전(大妃殿)에 책보(冊寶)를 올리고, 이어서 하례를 받고, 반사(頒赦)하였다.

 

10월 10일 신사

예방 승지(禮房承旨)                     이종우(李鍾愚)·대거 승지(對擧承旨)                     조연창(趙然昌)·대호군(大護軍)                     홍기섭(洪耆燮)·호군                     조병기(趙秉夔)에게 모두 가자(加資)하라고 명하였다.

 

종묘(宗廟)에 친히 제사하였을 때의 아헌관(亞獻官) 이하와 추상 존호 도감(追上尊號都監)·가상 존호 도감(加上尊號都監)의 도제조(都提調) 이하에게 차등있게 시상(施賞)하고, 제조(提調)인 예조 판서                     윤치수(尹致秀), 호조 판서                     김병기(金炳冀)·공조 판서                     서헌순(徐憲淳), 도청(都廳)인 부응교                     조재응(趙在應)·부사과                     홍우명(洪祐命), 독옥책관(讀玉冊官)인 호군                     김대근(金大根)·조득림(趙得林)·임백경(任百經), 악장문 제술관(樂章文製述官)인 행 이조 판서                     이학수(李鶴秀)·행 병조 판서                     김수근(金洙根)·대호군                     김보근(金輔根), 전사관(典祀官)인 봉상 정                     황회영(黃晦瑛), 악장문 제술관(樂衙章文製述官)인 우참찬                     서유훈(徐有薰)·대호군                     홍종응(洪鍾應), 선교관(宣敎官)인 부응교                     권응기(權應夔), 좌통례(左通禮)                     이정하(李貞夏), 우통례(右通禮)                     김영기(金永基)에게 모두 가자(加資)하게 하였다.

 

이노병(李魯秉)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이명적(李明迪)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김위(金鍏)를 예조 판서로 삼았다.

 

하교하기를,
"조병현(趙秉鉉)의 일은 그가 그 아비의 아들로서 이름이 백간(白簡)029)                                             에 실려 있으니, 보전(保全)하는 의(義)로써 헤아리면, 실로 차마 하지 못할 것이 있다. 또 이제 큰 사유(赦宥)를 내린 나머지에 탕척(蕩滌)의 은전(恩典)을 시행함이 마땅하니, 빨리 정계(停啓)하도록 하라."
하였다.

 

정원(政院)에서 의계(議啓)하여 성명(成命)을 정침하기를 청하니, 비답하기를,
"내가 어찌 상량(商量)함이 없이 그러했겠는가? 즉시 반포(頒布)하도록 하라."
하였다.

 

10월 11일 임오

일강(日講)하여 《시전(詩傳)》 제6권을 강론하였다.

 

소대(召對)하였다.

 

양사(兩司)에서 연차(聯箚)                        【대사헌                           이노병(李魯秉), 대사간                           이명적(李明迪), 사간                           이계선(李啓善), 지평                           박효정(朴孝正), 헌납                           박홍양(朴弘陽), 정언                           배상규(裵相奎)이다.】                     하여 특별히 반한(反汗)030)                                             을 내리기를 청하니, 비답하기를,
"이미 정원(政院)의 의계에 대한 비답에 유시하였으니, 경 등은 번거롭게 하지 말라."
하였다.

 

옥당(玉堂)에서 연차(聯箚)                        【부응교(副應敎)                           조운경(趙雲卿), 교리                           박상수(朴商壽)·정석조(鄭錫朝), 부교리                           허전(許傳)·임응준(任應準), 수찬                           김영수(金永秀)·윤병정(尹秉鼎), 부수찬                           조헌섭(趙憲燮)이다.】                     하여 특별히 반한(反汗)하기를 청하니, 비답하기를,
"너희들은 번거롭게 하지 말라."
하였다.

 

조병현(趙秉鉉)은 문충공(文忠公) 조득영(趙得永)의 아들로서 품성(稟性)이 강직하고, 일을 만나면 처결에 능숙하였다. 헌종(憲宗)의 지우를 받아 궁중을 출입하면서 평탄하고 험난함을 가리지 않고 앞에 나아가 자기 몸을 돌보지 않았다. 기유년031)                                              이후에 거듭 앙화를 만나 마침내 시종(始終)을 보전(保全)하지 못하였다. 이에 이르러 백간(白簡)을 비로소 씻었고, 원굴(冤屈)한 일이 모두 신설(伸雪)되었다.

 

10월 12일 계미

일강하였다.

 

10월 13일 갑신

일강하였다.

 

소대(召對)하였다.

 

10월 14일 을유

일강하였다.

 

10월 15일 병술

일강하였다.

 

소대하였다.

 

이응서(李膺緖)를 우변 포도 대장으로, 홍익섭(洪翼燮)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김대근(金大根)을 공조 판서로 삼았다.

 

10월 16일 정해

태백성(太白星)이 나타났다.

 

일강하였다.

 

10월 17일 무자

홍열모(洪說謨)를 이조 참판으로 삼았다.

 

10월 18일 기축

일강하였다.

 

10월 19일 경인

태백성(太白星)이 나타났다.

 

일강하였다.

 

10월 20일 신묘

일강하였다.

 

10월 21일 임진

일강하였다.

 

평안 감사(平安監司)                     이경재(李景在)를 소견(召見)하였으니, 사폐(辭陛)한 때문이었다.

 

10월 22일 계사

태백성(太白星)이 나타났다.

 

일강하였다.

 

시임(時任)·원임(原任) 대신과 금오 당상(金吾堂上)을 소견(召見)하였다. 영부사(領府事)                     정원용(鄭元容) 등이 말하기를,
"세상의 변괴가 없는 적이 없어서 도성(都城)의 아래에서 흉패(凶悖)한 무리들의 모의(謀議)가 낭자하니, 신 등의 몹시 놀랍고 한탄스러움을 어찌 다 진달할 수 있겠습니까? 김수정(金守禎)·홍영근(洪榮瑾)·최봉주(崔鳳周)를 잡아다 조사한 초안(招案)에 정절(情節)이 거의 죄다 탄로(綻露)되었으니, 이제 마땅히 끝까지 핵실하여야 하는데, 사체(事體)가 왕부(王府)에서 거행하여야 마땅하므로, 이에 감히 서로 이끌고 청대(請對)하였습니다."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하찮은 무뢰배(無賴輩)의 일에 대하여 어찌 확대시켜 설국(設鞫)할 필요가 있겠는가?"
하였다. 정원용 등이 아뢰기를,
"여러 흉도(凶徒)들의 흉모(凶謀)가 이제 이미 탄로되었으니, 엄하게 조사하여 끝까지 핵실한 뒤에야 실정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어찌 설국(設鞫)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여러 대신의 주청이 이와 같으니, 처분이 있어야 마땅하다."
하고, 인하여 하교하기를,
"추국(推鞫)하도록 하라."
하였다.                        【영부사                           정원용(鄭元容), 판부사                           박회수(朴晦壽)·김흥근(金興根)·박영원(朴永元)·이헌구(李憲球), 영의정                           김좌근(金左根), 우의정                           조두순(趙斗淳), 판의금                           윤정현(尹定鉉), 지의금                           김학성(金學性)·서헌순(徐憲淳), 동의금                           이명적(李明迪), 승지                           심돈영(沈敦永), 지평                           강진규(姜晉奎), 헌납                           홍종운(洪鍾雲)이다.】


【태백산사고본】 3책 5권 8장 B면【국편영인본】 48책 583면
【분류】사법-재판(裁判)

 

정원용(鄭元容)을 위관(委官)으로, 윤정현(尹定鉉)을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로 삼았다.

 

10월 23일 갑오

태백성(太白星)이 나타났다.

 

일강하였다.

 

추국(推鞫)하였다.

 

10월 24일 을미

일강(日講)하였다.

 

추국(推鞫)하였다.

 

이규팽(李圭祊)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이원달(李源達)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았다.

 

10월 25일 병신

태백성이 나타났다.

 

일강하였다.

 

추국하였다.

 

10월 26일 정유

태백성이 나타났다.

 

세 사신(使臣)                        【정사                           윤치수(尹致秀)·부사                           이현서(李玄緖)·서장관                           이강준(李綱峻)이다.】                     을 소견(召見)하였으니, 사폐(辭陛)한 때문이었다.

 

판부사                     김흥근(金興根)을 위관(委官)으로 삼았다가 바로 우의정                     조두순(趙斗淳)으로 삼았다.

 

추국(推鞫)하였다.

 

10월 27일 무술

일강하였다.

 

한림 소시(翰林召試)를 행하여 박도빈(朴道彬)·이승유(李承游)·이익상(李翊相)·조병협(趙秉協)을 뽑았다.

 

추국(推鞫)하였다.

 

10월 28일 기해

태백성이 나타났다.

 

일강하였다.

 

10월 29일 경자

일강하였다.

 

추국하였다.

 

10월 30일 신축

일강하였다.

 

추국하였다.

 

하교하기를,
"설국(設鞫)한 지 이제 여러 날이 되었는데, 출장(出場)할 기한이 없고, 여러 죄인(罪人)들은 오로지 미루고 핑계대기를 일삼아 한결같이 모호(模糊)하니, 아주 교활하고 간악하다. 명백하게 끝까지 핵실하여 여러 날을 두고 오래 끌지 않도록 하라."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