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손자병법 시계편
손자병법 시계편에 나오는 한자 정리
시계편의 내용은 손자병법 - #1 시계편 - 원문을 이해할 수 있게 언어로 번역중 손자병법 시계편 孫子曰: 손자왈 손자가 말했다. 兵者, 國之大事, 死生之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 병자,
zdiary.tistory.com
孫子曰: | 손자왈 | 손자가 말했다. |
兵者, 國之大事, 死生之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 |
병자, 국가대사, 사생지지, 존망지도, 불가불찰야. |
군대(를 운용하는 것)는 국가의 큰 일이다. 땅에 생사가 있고, 도(명분)에 존재하고 망함이 있다. 그러니 살피지 않으면 안된다. |
故 經之以五事, 校之以(七)計, 而索其情: 一曰道, 二曰天, 三曰地, 四曰將, 五曰法。 |
고 경지이오사 교지이(칠)계 이삭기정: 일왈도, 이왈천, 삼왈지, 사왈장, 오왈법. |
그러니 다섯가지 속성으로 경영(운용)하고, (일곱가지) 체크리스트로 점검해야, 군대의 뜻(상태)을 찾을 수 있다. 첫째는 명분, 둘째는 하늘, 셋째는 땅, 넷째는 사람, 다섯째는 규칙(법)이다. |
道者, 令民與上同意, 可與之死, 可與之生, 而不畏危也。 |
도자, 령민여상동의, 가여지사 가여지생 이불외위야 |
명분이란, 백성에게까지 윗사람들과 같은 생각을 하게 하는 것으로, 죽어도 같이 죽고, 살아도 같이 살게 생각하여, (전쟁/죽음이라는) 위험을 두려워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
天者, 陰陽、 寒暑、 時制也。 |
천자, 음양, 한서, 시제야. |
하늘이란, 어둠과 밝음(낮과 밤), 덥고 추움, 시간통제가 있다. (전쟁을 진행하는 시간에 대해서 조금 더 개념적인 의미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
地者, 高下、 遠近、 險易、 廣狹、 死生也。 |
지자 고저, 원근, 험이, 광협, 사생야. |
땅이란, 높고 낮음, 멀고 가까움, 험하고 쉬움, 넓고 좁음, 죽는 곳과 사는 곳이 있다. (위치에 대한 개념으로 생각된다.) |
將者, 智、 信、 仁、 勇、 嚴也。 |
장자, 지, 신, 인, 용, 엄야. |
(장수란 개념보다 사람으로 해석하는 게 좋을 것 같다) 사람에게는 지혜, 믿음, 어짊(인자), 용맹, 위엄(엄격)이 있다. |
法者, 曲制、 官道、 主用也。 |
법자 곡제, 관도, 주용야. |
규칙이란, 지휘체계, 복무규정, 병과(물자와 병기 보다는 병과가 이해하기 쉬운 것 같아서 교체한다.)다. |
凡此五者, 將莫不聞, 知之者勝, 不知者不勝。 |
범차오자, 장막불문, 지지자승, 부지자불승. |
이 다섯가지를 듣지 못한 장수는 없을 것이다. 이걸 아는 사람은 이길 것이고, 모르는 사람은 이기지 못할 것이다. |
故 校之以計而索其情, 曰: 主孰有道? 將孰有能? 天地孰得? 法令孰行? 兵衆孰強? 士卒孰練? 賞罰孰明? 吾以此知勝負矣。 |
고 교지이계이삭기정, 왈: 주숙유도? 장숙유능? 천지숙득? 법령숙행? 병중숙강? 사졸숙련? 상벌숙명? 오이차지승부의 |
그러므로 다음의 체크리스트로 점수를 메긴다. 즉, 주인(왕)은 명분이 있는가? 장수는 유능한가? 시간과 장소는 얻었는가? 규칙이 제대로 지켜지는가? (직업)군인들은 강한가? 사졸(징병군인?)은 숙련이 되었는가? 상벌은 제대로 이루어지는가? 나는 이것을 알면 승부를 알 수 있다. |
將聽吾計, 用之必勝, 留之; 將不聽吾計, 用之必敗, 去之。 |
장청오계, 용지필승, 유지; 장불청오계, 용지필패, 거지. |
장군이 (나의) 점검을 받고 사용하면 반드시 이기고, 계속 (장수로) 있을 수 있지만, 점검받지 않고 (멋대로) 사용하면 반드시 지고, 퇴역하게 될거다. |
計利以聽, 乃為之勢, 以佐其外。 |
계리이청, 내위지세, 이좌기외. |
점검하는 이치를 들으면, 바로 그 위세가 생겨나고(사기가 오르고), 이로써 더 큰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
勢者, 因利而制權也。 |
세자, 인리이제권야 |
사기란, 이에서 나와서 권을 제한다. |
兵者, 詭道也。 |
병자, 궤도야. |
전쟁은, 속이는 일이다. |
故 能而示之不能, 用而示之不用, 近而示之遠, 遠而示之近。 |
고 능이시지불능, 용이시지불용, 근이시지원, 원이시지근. |
옛말에 할 수 있어도 못하는 척, 쓸 수 있어도 못쓰는 척, 가까워도 먼 척, 멀어도 가까운척 하라 했다. |
利而誘之, 亂而取之, 實而備之, 強而避之, 怒而撓之, 卑而驕之, 佚而勞之, 親而離之。 |
이이유지, 난이취지, 실이비지, 강이피지, 노이요지, 비이교지, 일이노지, 친이리지. |
(상대방이)이득이 있으면 유인하고, 혼란스러우면 취하고, 실하면 대비하고, 강하면 피하고, 화났으면 어지럽히고, 자세를 낮춰 교만하게 하고, (성으로) 숨으면 힘들게 하고, 친하면 이간질한다. |
攻其無備, 出其不意。 |
공기무비, 출기불의. |
대비하지 않은 것을(예상 못한 곳을) 공격하고, (상대가) 생각 못한 곳에 나타난다. |
此兵家之勝, 不可先傳也。 |
차병가지승, 불가선전야. |
이게 전쟁에서의 이기는 법이지만, 먼저 선택할 수 없다. (공식이 아니므로 외우면 안된다.) |
夫 未戰而廟算勝者, 得算多也; 未戰而廟算不勝者, 得算少也。 |
부 미전이묘산승자, 득산다야; 미전이묘산불승자, 득산소야. |
그러므로 전쟁전에 묘산으로 승리하는 사람은 많이 얻을 것이고, 전쟁전에 묘산으로 승리하지 못하는 사람은 적게 얻는 것이다. |
多算勝, 少算不勝, 而況於無算乎? 吾以此觀之, 勝負見矣。 |
다산승, 소산불승, 이황어무산호? 오이차관지, 승부견의. |
많이 계산하면 이기고, 적게 계산하면 못이긴다. 이런 상황인데 계산을 안하면 어떻겠냐? 난 이걸 보는 것만으로도 승부를 알 수 있다. |
손자병법 시계편에 나오는 한자 정리
시계편의 내용은 손자병법 - #1 시계편 - 원문을 이해할 수 있게 언어로 번역중 손자병법 시계편 孫子曰: 손자왈 손자가 말했다. 兵者, 國之大事, 死生之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 병자,
zdiary.tistory.com
손자병법 #2 작전편 - 읽을 수 있게 번역하기
작전편 孫子曰: 凡用兵之法, 馳車千駟, 革車千乘, 帶甲十萬, 千里饋糧, 則內外之費, 賓客之用, 膠漆之材, 車甲之奉, 日費千金, 然後十萬之師舉矣。 손자왈 : 범용병지법, 치거천
zdiary.tistory.com
반응형
'고전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자병법 #3 모공편 한자 목록 (2) | 2022.12.24 |
---|---|
손자병법 #3 모공편 - 원문을 읽을 수 있게 현대어로 번역중 (2) | 2022.12.19 |
손자병법 #2 작전편 한자 목록 (2) | 2022.12.18 |
손자병법 #2 작전편 - 원문을 읽을 수 있게 번역하기 (1) | 2022.12.15 |
손자병법 #1 시계편에 나오는 한자 정리 (1) | 2022.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