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5일 양력
【음력 병진년(丙辰年) 8월 8일】 철도국 부참사(鐵道局副參事) 안도 겐지〔安藤堅次〕에게 은제 화병(花甁)을 하사하였다. 철도국 부참사 직책을 사직하였기 때문이다.
【원본】 7책 7권 7장 B면【국편영인본】 3책 594면
【분류】왕실-사급(賜給) / 외교-일본(日本) / 의생활-장신구(裝身具)
철도국 부참사(鐵道局副參事) 안도 겐지〔安藤堅次〕에게 은제 화병(花甁)을 하사하였다. 철도국 부참사 직책을 사직하였기 때문이다.
9월 6일 양력
후작(侯爵) 이재각(李載覺)에게 선원전(璿源殿)을 봉심할 것을 명하였다. 이 날이 문조 익황제(文祖翼皇帝)의 탄신일이었기 때문이다.
9월 8일 양력
덕수궁(德壽宮)에 나아가 태왕 전하를 알현하고 이어 태왕 전하를 모시고 석조전(石造殿)에 가서 종척(宗戚)과 귀족 원로 및 이왕직 장관(李王職長官) 이하 고등관(高等官) 등으로부터 축하를 받았다. 이어 돈덕전(惇德殿)에서 오찬을 베풀었다. 이 날은 태왕 전하의 탄신일이기 때문이다.
부무관(附武官) 강필우(康弼祐)를 용산역으로 보내고, 덕수궁(德壽宮)에서도 사무관(事務官) 한상학(韓相鶴)을 보내어 신임 군사령관(軍司令官) 아키야마 요시후루〔秋山好古〕를 맞이하게 하였다.
9월 11일 양력
군사령관(軍司令官) 아키야마 요시후루〔秋山好古〕, 정무 총감(政務總監) 야마가타 이사부로〔山縣伊三郞〕, 부무관(附武官) 노즈 요타로〔野津要太郞〕 비서관 엔도 류사쿠〔遠藤柳作〕 등이 양궁(兩宮)에 신임 인사차 알현하였다.
9월 14일 양력
왕이 남대문에 친히 나아가 강이노미야〔閑院宮〕 고토히토 친왕〔載仁親王〕 【러시아 대사로 부임하기 위해 경성을 경유하기 때문이었다.】 을 맞이하고 전송하였는데 노자로 과일과 꽃을 주었다.
9월 16일 양력
양심합(養心閤)에 나아갔다. 왕비와 함께 나아가 망곡례(望哭禮)를 올렸다. 명성 황후(明成皇后)의 기신제(忌辰祭)였기 때문이다.
9월 19일 양력
종척(宗戚)과 귀족(貴族) 및 이왕직 장관(李王職長官) 이하 고등관(高等官)을 소견하고 인정전(仁政殿)의 동행각(東行閣)에서 오찬을 베풀었다. 왕비의 탄신일이기 때문이다.
9월 21일 양력
정무 총감(政務總監) 야마가타 이사부로〔山縣伊三郞〕, 군사령관(軍司令官) 아키야마 요시후루〔秋山好古〕, 경무 총장(警務總長) 고우미〔古海嚴潮〕, 참모장(參謀長) 시로즈 단〔白水淡〕, 중추원 서기관 장(中樞院書記官長) 고마쓰〔小松綠〕, 주계감(主計監) 히로세 마사노리〔廣瀨正德〕 부무관(附武官) 다카하시 야스지로〔高橋綏次郞〕, 군사령부 부관(軍司令部副官) 노즈 요타로〔野津要太郞〕 등을 인정전(仁政殿)에서 접견하고 이어서 오찬을 베풀었다. 이준 공(李埈公) 이하 귀족 등이 함께 배식(陪食)하였다.
9월 23일 양력
이왕직 장관(李王職長官) 자작(子爵) 민병석(閔丙奭)을 총독부(總督府)에 보내어 천황과 황후 두 폐하가 닛코〔日光〕에서 무사히 돌아온 것에 대한 안부를 전해 주기를 당부하였다.
9월 27일 양력
양궁(兩宮)에서 제자료(祭粢料) 돈 350원을 조정식(趙鼎植)에게 특별히 하사하였다. 그 조부 고(故) 판서(判書) 조경호(趙慶鎬)의 상제(祥祭) 날이기 때문이었다.
9월 28일 양력
양궁(兩宮)에서 특별히 전 참봉(參奉) 조명구(趙命九)에게 일금 100원을 하사하였다. 그의 조모 정경 부인(貞敬夫人) 박씨(朴氏)의 회갑이었기 때문이다.
9월 29일 양력
전 시종(侍從) 김규진(金圭鎭)에게 일금 100원을 특별히 하사하였다. 난죽보(蘭竹譜)를 올린 노고로 보답하였기 때문이다.
'한국사 공부 > 조선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종실록부록7권, 순종9년 1916년 11월 (0) | 2025.02.18 |
---|---|
순종실록부록7권, 순종9년 1916년 10월 (0) | 2025.02.18 |
순종실록부록7권, 순종9년 1916년 8월 (0) | 2025.02.18 |
순종실록부록7권, 순종9년 1916년 7월 (0) | 2025.02.18 |
순종실록부록7권, 순종9년 1916년 6월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