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일 계해
모화관(慕華館)에 나아가 칙사를 전송하였다.
전 함경 감사 박영원(朴永元)을 불러 보았다.
4월 2일 갑자
오취선(吳取善)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삼았다.
대왕 대비가 하교하기를,
"이기연(李紀淵)의 정배를 분간(分揀)하여 황해 병사를 보외(補外)의 예(例)로 시행하되, 조사(朝辭)는 생략하고 교귀(交龜)019) 하게 하라."
하였다.
4월 4일 병인
춘당대(春塘臺)에 나아가 춘도기(春到記)를 행하였다. 강경(講經)으로 유학(幼學) 박난수(朴蘭壽)와 부(賦)로 진사 조태순(趙台淳)을 모두 직부 전시(直赴殿試)하게 하였다.
이민덕(李敏德)을 함경북도 병마 절도사로 삼았다.
4월 5일 정묘
약원에서 희정당에 입진하였다. 이어 입격(入格)한 유생(儒生)들을 불러 보았다.
소대하였다.
이희장(李熙章)을 경상우도 병마 절도사로 삼았다.
4월 6일 무진
진강하였다.
4월 7일 기사
춘당대(春塘臺)에 나아가 삼일제(三日製)020) 를 행하였다.
4월 8일 경오
진강하였다.
입격한 유생들을 불러 보았다.
증광 감시 복시(增廣監試覆試)의 일소(一所)와 이소(二所)에서 방목(榜目)을 올렸다. 일소에서는 유학 배극소(裵克紹), 이소에서는 유학 이우선(李友善)이 수위(首位)를 차지하였다.
4월 9일 신미
김좌근(金左根)을 총융사로 삼았다.
4월 10일 임신
약원에서 희정당에 입진하였다.
진강하였다.
4월 11일 계유
진강하였다.
집의 이휘규(李彙圭)가 8조(八條)의 진면소(陳勉疏)를 올리니, 비답하기를,
"그대의 말은 가히 치안책(治安策)에 비유될 만하다. 마땅히 띠[紳]에 써서 조석으로 경성(警省)하겠다."
하였다.
소대(召對)하였다.
4월 12일 갑술
전계 대원군(全溪大院君)의 사당에 나아가 전배(展拜)하고, 이어 은언군(恩彦君)의 사당에 나아가 전배하였다.
4월 14일 병자
김수근(金洙根)을 공조 판서로, 이명학(李明學)을 전라도 병마 절도사로, 이기석(李基碩)을 경상우도 병마 절도사로, 한인식(韓仁植)을 황해도 수군 절도사로 삼았다.
4월 15일 정축
희정당(熙政堂)에서 차대(次對)하였다.
교하(交河)·파주(坡州)·고양(高陽) 세 고을 성향미(城餉米)의 모비(耗費) 제감조(除減條)의 급대(給代)를 균역청(均役廳)에서 구획(區畵)하라고 명하였으니, 대신의 주청으로 인한 것이었다.
진강하였다.
한성부에서 제주(濟州)의 대정(大靜)·정의(旌義) 두 고을의 민호수(民戶數)를 올렸는데, 원호(元戶)가 1만 1천 1백 24호였다. 【남자가 3만 7천 7백 71구(口)이었고, 여자가 4만 2천 1백 39구(口)이었다.】
【태백산사고본】 1책 2권 4장 B면【국편영인본】 48책 556면
【분류】호구(戶口)
4월 16일 무인
소대하였다.
별강(別講)하였다.
4월 17일 기묘
희정당(熙政堂)에 나아가 생원·진사들의 사은(謝恩)을 받았다.
진강하였다.
소대하였다.
4월 18일 경진
진강하였다.
소대하였다. 경상좌도 암행 어사 김세호(金世鎬)를 불러 보았으니, 전 좌병사 신종익(申從翼), 전 좌수사 이인희(李寅熙), 예천 군수(醴泉郡守) 이국(李漍), 경주 부윤(慶州府尹) 이원조(李源祚), 전 부윤 권직(權溭), 흥해 군수(興海郡守) 이정호(李鼎鎬), 양산 군수(梁山郡守) 홍재중(洪在重), 장기 현감(長鬐縣監) 임정(任楨), 하양 현감(河陽縣監) 정유(鄭游), 청하 현감(淸河縣監) 정담(鄭墰), 영양 현감(英陽縣監) 정기필(鄭夔弼), 안동(安東) 전전 부사 조계승(趙啓昇), 동래(東萊) 전 부사 송주헌(宋柱獻), 동래 전전 부사 조휘림(趙徽林), 인동 부사(仁同府使) 허종(許瑽), 순흥(順興) 전 부사 이윤식(李尹植), 봉화(奉化) 전 현감 최호문(崔虎文), 현풍(玄風) 전 현감 윤치현(尹致賢)을 죄주어야 한다고 서계한 때문이었다.
4월 19일 신사
진강하였다.
유영로(柳永魯)를 전라도 병마 절도사로 삼았다.
4월 20일 임오
진강하였다.
4월 21일 계미
진강하였다.
4월 22일 갑신
산릉을 봉심(奉審)한 대신을 불러 보았다.
경기 감사 김기만(金箕晩)을 중화(中和)에 정배(定配)하고, 여주 목사(驪州牧使) 이규헌(李奎憲)을 파직하라 명하였으니, 영릉(英陵)과 영릉(寧陵) 두 능의 고유 제관(告由祭官)을 미처 차송(差送)하지 못한 때문이었다.
홍우철(洪祐喆)을 경기 관찰사로 삼았다.
4월 24일 병술
육상궁(毓祥宮)에 나아가 전배(展拜)하였다.
증광 복시(增廣覆試) 문과에서 신철구(申轍求) 등 33인을 뽑았는데, 무과 일소(一所)에서는 한량(閑良) 유치봉(兪致鳳)이, 이소(二所)에서는 한량 이재협(李載浹)이 수위를 차지하였다.
4월 25일 정해
홍기섭(洪耆燮)을 형조 판서로 삼았다.
4월 26일 무자
이시원(李是遠)을 개성부 유수로 삼았다.
4월 29일 신묘
약원에서 희정당에 입진하였다.
소대하였다.
'한국사 공부 > 조선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6월 (0) | 2025.04.26 |
---|---|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5월 (0) | 2025.04.26 |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3월 (0) | 2025.04.26 |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2월 (2) | 2025.04.26 |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1월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