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일 양력
【음력 신해년(辛亥年) 12월 14일】 정무총감(政務總監) 야마가타 이사부로〔山縣伊三郞〕이 양궁(兩宮)에 알현하였다. 토쿄〔東京〕로 떠나기 때문이다.
【원본】 6책 3권 1장 B면【국편영인본】 3책 570면
【분류】왕실-국왕(國王) / 외교-일본(日本)
정무총감(政務總監) 야마가타 이사부로〔山縣伊三郞〕이 양궁(兩宮)에 알현하였다. 토쿄〔東京〕로 떠나기 때문이다.
2월 5일 양력
태왕 전하(太王殿下)가 찬시(贊侍) 박서양(朴敍陽)을 보내어 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에게 은으로 만든 병걸이 1개(箇)를 하사하라고 명하였다. 그의 생일이었기 때문이다.
2월 8일 양력
왕비(王妃)가 애국부인회(愛國婦人會) 명예회원으로 추대된 안건을 승낙하는 일로 이왕직(李王職)에서 부인회의 회장 아베 아쓰코〔阿部篤子〕에게 회답하였다.
2월 12일 양력
덕수궁(德壽宮)에 나아가 근알(覲謁)하고 나서 선원전(璿源殿), 경효전(景孝殿)에 나아가 전알(展謁)하였다.
2월 17일 양력
태왕 전하(太王殿下)가 덕안궁(德安宮)에 나아가 간심(看審)하였다.
2월 18일 양력
찬시(贊侍) 이성묵(李聖默)에게 덕수궁(德壽宮)에 나아가 문안하고 오도록 하라고 명하였다.
태왕 전하(太王殿下)가 덕안궁(德安宮)에 나아가 주다례(晝茶禮)를 행하였다.
이강 공(李堈公), 이희 공(李熹公), 후작(侯爵) 이재완(李載完)·윤택영(尹澤榮)·이재각(李載覺), 훈(勳) 1등 이준용(李埈鎔), 자작(子爵) 이기용(李埼鎔)·이완용(李完鎔)·민영휘(閔泳徽)·민영소(閔泳韶), 남작(男爵) 이재극(李載克), 이왕직 장관(李王職長官) 자작 민병석(閔丙奭), 장시계장(掌侍係長) 자작 윤덕영(尹德榮) 및 이달용(李達鎔)·이관용(李) 등이 양궁(兩宮)에 알현하였다. 음력으로 새해 아침에 문안을 드렸기 때문이다.
2월 26일 양력
선정전(宣政殿)에 왕림하여 군사령관(軍司令官) 우에다 아리사와〔上田有澤〕를 접견하였다. 태왕 전하(太王殿下)는 함녕전(咸寧殿)에 왕림하여 또한 접견하고 이어 문단(紋緞) 5권(卷)을 하사하였다. 해임되어 귀국하였기 때문이다.
2월 29일 양력
양궁(兩宮)에서 찬시(贊侍)를 용산역에 보내어 신임 군사령관(軍司令官) 안도 사다미〔安東貞美〕를 맞이하도록 하였다.
'한국사 공부 > 조선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종실록부록3권, 순종5년 1912년 4월 (0) | 2025.02.08 |
---|---|
순종실록부록3권, 순종5년 1912년 3월 (0) | 2025.02.08 |
순종실록부록3권, 순종5년 1912년 1월 (0) | 2025.02.08 |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4년 1911년 12월 (2) | 2025.02.07 |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4년 1911년 11월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