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일 양력
【음력 임자년(壬子年) 1월 13일】 함경남도(咸鏡南道) 안변군(安邊郡) 석왕사(釋王寺)에 봉안되어 있는 태조 고황제(太祖高皇帝) 감실(龕室)에서의 탄신일과 사절일(四節日)의 제향 비용으로 올해 분의 금(金) 150원(圓)을 이왕직(李王職)에서 명을 받들어 지불하였다. 석왕사 주지(住持) 김윤하(金崙河)가 청구(請求)했기 때문이다.
【원본】 6책 3권 1장 B면【국편영인본】 3책 570면
【분류】왕실-사급(賜給) / 왕실-종사(宗社)
함경남도(咸鏡南道) 안변군(安邊郡) 석왕사(釋王寺)에 봉안되어 있는 태조 고황제(太祖高皇帝) 감실(龕室)에서의 탄신일과 사절일(四節日)의 제향 비용으로 올해 분의 금(金) 150원(圓)을 이왕직(李王職)에서 명을 받들어 지불하였다. 석왕사 주지(住持) 김윤하(金崙河)가 청구(請求)했기 때문이다.
3월 3일 양력
태왕 전하(太王殿下)가 덕안궁(德安宮)에 나아가 주다례(晝茶禮)를 행하였다.
선정전(宣政殿)에서 총독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 전 군사령관(軍司令官) 남작(男爵) 우에다 아리사와〔上田有澤〕, 신임 군사령관 안도 사다미〔安東貞美〕, 참모장(參謀長) 시바 가쓰사부로〔柴勝三郞〕, 경무총장(警務總長) 아카시 겐지로〔明石元二郞〕, 총독부(總督府) 의원장(醫院長) 후지타 쓰구아키〔藤田嗣章〕, 외사국장(外事局長) 고마쓰 미도리〔小松綠〕, 비서관(祕書官) 고다마 히데오〔兒玉秀雄〕를 접견하고 이어 오찬(午餐)을 내렸다.
태왕 전하(太王殿下)가 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를 함녕전(咸寧殿)에서 접견하였다. 특별히 하사한 생일 축하 선물에 보답하는 예로써 알현하였기 때문이다.
전 군사령관(軍司令官) 남작(男爵) 우에다 아리사와〔上田有澤〕에게 은으로 만든 주익유식(周翼逌式) 꽃병 1개(箇)를 특별히 하사하였다. 오래 주둔한 것을 기념하였기 때문이다.
3월 5일 양력
찬시(贊侍) 자작(子爵) 윤덕영(尹德榮)을 남대문역에 보내고 덕수궁에서도 찬시 남작(男爵) 김춘희(金春熙)를 보내어 정무총감(政務總監) 야마가타 이사부로〔山縣伊三郞〕가 귀임(歸任)하는 것을 맞이하였다.
창경원(昌慶苑) 홍화문(弘化門) 밖의 부속 토지 약 5평(坪)을 가스전기회사〔瓦斯電氣會社〕에 빌려주는 것을 허가하였다. 비원(祕苑) 배관인(拜觀人)의 편의를 위해 대합소(待合所)를 설치하기 위함이다.
3월 6일 양력
찬시(贊侍) 자작(子爵) 윤덕영(尹德榮)을 용산역에 보내고 덕수궁에서도 찬시(贊侍) 남작(男爵) 김춘희(金春熙)를 보내어 전 군사령관(軍司令官) 남작(男爵) 우에다 아리사와〔上田有澤〕가 동경으로 귀향해 가는 것을 전송하게 하였다.
3월 8일 양력
덕수궁(德壽宮)에 나아가 근알(覲謁)하였다. 왕비(王妃)도 따라 나아갔다. 이어 선원전(璿源殿), 경효전(景孝殿)에 나아가 전알(展謁)하고 의효전(懿孝殿)에 전배(展拜)하였다.
3월 9일 양력
종묘(宗廟)와 영녕전(永寧殿)에 나아가 전알(展謁)하였다.
3월 15일 양력
옥돌장(玉突場)에서 백작(伯爵) 이완용(李完用)을 인견(引見)하였다. 병이 있어 별부(別府) 온천에서 정양(靜養)하고 돌아와 알현하였기 때문이다.
3월 16일 양력
정무총감(政務總監) 야마가타 이사부로〔山縣伊三郞〕가 양궁(兩宮)을 알현하였다. 귀임(歸任)하였기 때문이다.
3월 18일 양력
구 수학원(舊修學院)의 토지 건물을 영국(英國) 교회(敎會)에 빌려 주도록 허락하였다. 총독부(總督府)에서 조건을 붙여 요청해왔기 때문이다. 【그 조문에, 1. 토지 건물은 종교상의 목적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다. 1. 대차 기간은 만 5년으로 한다. 1. 대차료는 무료로 정한다. 1. 대차 기간 중이라도 당직(當職)에서 필요가 있을 때에는 이를 사용하고 또는 반환케 하는 일도 있다. 1. 기간 중 반환하는 경우에는 차수인(借受人)이 해당 건물에 가공(加工)한 일이 있으면 시가에 따라 배상한다. 1. 토지 건물에 대하여 차수인이 가공을 할 때에는 당직의 승인을 거친 뒤 시행한다. 이 조항에 대하여 영국(英國) 교회 대표자 주교(主敎) 트롭푸, 영국 총영사(總領事) 대리(代理) 로이쓰는 이의가 없음을 제기한다.】
【원본】 6책 3권 2장 A면【국편영인본】 3책 570면
【분류】외교-영국(英) / 사상-서학(西學)
3월 20일 양력
김명수(金明秀)를 이왕직 사무관(李王職事務官)에 임용하고 고등관(高等官) 5등에 서임(敍任)하였다. 이왕직 전사(典祀) 민달식(閔達植)을 이왕직 사무관에 임용하고 고등관 6등에 서임하였다. 조지호(趙志鎬)를 이왕직 전사에 임용하고 고등관 8등에 서임하였다. 이왕직 찬시(贊侍) 서병협(徐丙協)을 태왕부(太王附)에 임명하였다.
3월 22일 양력
《황실약첩(皇室略牒)》 2책(冊)이 【명치(明治) 44년 12월 31일 정리하였다.】 궁내성(宮內省) 도서관장 야마구치 에이노스케〔山口銳之助〕로부터 보내왔다.
돈덕전(惇德殿)에서 태왕 전하(太王殿下)가 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 정무 총감(政務總監) 야마가타 이사부로〔山縣伊三郞〕, 군사령관(軍司令官) 안도 사다미〔安東貞美〕, 경무총장(警務總長) 아카시 겐지로〔明石元二郞〕, 외사국장(外事局長) 고마쓰 미도리〔小松綠〕, 비서관(祕書官) 고다마 히데오〔兒玉秀雄〕를 접견하였다. 이어 이희 공(李熹公), 후작(侯爵) 이재완(李載完)·윤택영(尹澤榮)·박영효(朴泳孝), 백작(伯爵) 이완용(李完用), 자작(子爵) 박제순(朴齊純)·이재곤(李載崐)·임선준(任善準)·이용직(李容稙), 이왕직 장관(李王職長官) 자작 민병석(閔丙奭), 차관(次官) 고미야 미호마쓰〔小宮三保松〕, 찬시(贊侍) 자작 윤덕영(尹德榮), 부무관(附武官) 자작 이병무(李秉武), 찬시 남작(男爵) 김춘희(金春熙)·이필균(李弼均), 사무관(事務官) 이항구(李恒九)·현백운(玄百運)·우에무라 마사키〔上村正已〕·최건영(崔鍵濚), 기로소(耆老所) 노인(老人) 이승우(李勝宇), 남작 민종묵(閔種默)·이정로(李正魯)를 소견(召見)하였다. 오찬(午餐)을 하사하고 배식(陪食)하였다.
3월 25일 양력
대조전(大造殿)에서 종척(宗戚)과 이왕직 장관(李王職長官), 차관(次官), 찬시(贊侍), 부무관(附武官)을 소견(召見)하였다. 이어 선정전(宣政殿)에서 귀족 중추원(貴族中樞院)의 고문(顧問), 찬의(贊議), 이왕직 고등관(李王職高等官)을 소견하였다. 탄신일에 문안을 하였기 때문이다. 이어 오찬(午餐)을 하사하고 인정전(仁政殿)에서 배식(陪食)하였다.
덕수궁(德壽宮)에 나아가 근알(覲謁)하였다. 왕비(王妃)도 따라 나아갔다. 이어 경효전(景孝殿)에 나아가 전알(展謁)하였다.
왕세자(王世子)가 축전(祝電)에,
"오늘 궁내 대신(宮內大臣), 차관(次官), 종질료(宗秩寮), 총재(總裁), 주사(主事), 토쿄〔東京〕에 있는 조선 총독부(朝鮮總督府) 칙임관(勅任官) 유년학교 교장(幼年學校校長) 및 이왕직(李王職) 직원들과 함께 오찬(午餐)을 베풀어 임금의 탄신일을 봉축(奉祝)합니다."
하였다.
'한국사 공부 > 조선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종실록부록3권, 순종5년 1912년 5월 (0) | 2025.02.08 |
---|---|
순종실록부록3권, 순종5년 1912년 4월 (0) | 2025.02.08 |
순종실록부록3권, 순종5년 1912년 2월 (0) | 2025.02.08 |
순종실록부록3권, 순종5년 1912년 1월 (0) | 2025.02.08 |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4년 1911년 12월 (2)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