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일 양력
【음력 경술년(庚戌年) 1월 20일】 칙령(勅令) 제17호, 〈학부의 직할 학교 및 공립 학교의 관제 중 개정에 관한 안건〔學部直轄學校及公立學校官制中改正件〕〉을 재가(裁可)하여 반포하였다.
【원본】 5책 4권 3장 B면【국편영인본】 3책 548면
【분류】사법-법제(法制)
칙령(勅令) 제17호, 〈학부의 직할 학교 및 공립 학교의 관제 중 개정에 관한 안건〔學部直轄學校及公立學校官制中改正件〕〉을 재가(裁可)하여 반포하였다.
3월 7일 양력
영화당(映花堂)에 나아가 근위 기병(近衛旗兵)의 기술(旗術)을 관람하였다.
3월 9일 양력
칙령(勅令) 제18호, 〈관세국 관제(關稅局官制)〉, 칙령 제19호, 〈세관의 관제 중 개정에 관한 안건〔稅關官制中改正件〕〉, 칙령 제20호, 〈항로 표지 관리소 관제(航路標識管理所官制)〉, 칙령 제21호, 〈관등 봉급령 중 개정에 관한 안건〔官等俸給令中改正件〕〉을 모두 재가(裁可)하여 반포하였다.
3월 12일 양력
법률(法律) 제1호, 〈선박법(船舶法)〉, 법률 제2호, 〈선박 검사법(船舶檢査法)〉, 법률 제3호, 〈선박 적재량 측정법(船舶積載量測程法)〉을 모두 재가(裁可)하여 반포하였다.
칙령(勅令) 제22호, 〈공업 전습소의 관제 중 개정에 관한 안건〔工業傳習所官制中改正件〕〉을 재가(裁可)하여 반포하였다.
3월 14일 양력
칙령(勅令) 제23호, 〈토지 조사국 관제(土地調査局官制)〉, 칙령 제24호, 〈관등 봉급령 중 개정에 관한 안건〔官等俸給令中改正件〕〉을 모두 재가(裁可)하여 반포하였다.
3월 15일 양력
탁지부 대신(度支部大臣) 고영희(高永喜)에게 토지 조사국 총재(土地調査局總裁)를 겸임하도록 하고, 학부 차관(學部次官) 다와라 마고이치〔俵孫一〕에게 토지 조사국 부총재(副總裁)를 겸임하도록 하였으며, 탁지부 사세 국장(度支部司稅局長) 스스키 기요시〔鈴木淸〕에게 관세 국장(關稅局長)을 겸임하도록 하였다.
3월 16일 양력
완평군(完平君) 이승응(李昇應)의 면례(緬禮) 때에 예관(禮官)을 보내어 치제(致祭)하고 제문(祭文)은 친히 지어서 내리겠다고 명하였다.
태황제(太皇帝)가 완평군(完平君) 이승응(李昇應)의 면례(緬禮) 때에 시종관(侍從官)을 보내어 치제(致祭)하고 제문(祭文)은 친히 지어서 내리겠다고 명하였다.
3월 25일 양력
덕수궁(德壽宮)에 나아가 근알(覲謁)하였다. 황후(皇后)도 따라 나아갔다.
인정전(仁政殿)에서 통감부 고등관(統監府高等官), 군사령부 장(軍司令部將), 좌관(佐官) 그리고 이에 상응한 관리 이하, 각국(各國) 영사(領事) 및 영사관원(領事館員), 동양 척식 회사(東洋拓殖會社), 한국은행의 중역 등을 접견하였다. 건원절(乾元節)에 알현하였기 때문이다.
건원절(乾元節)에 어배식(御陪食)할 때 친왕(親王)인 군(君), 칙임이등관(勅任二等官) 이상, 통감부(統監府), 군사령부 칙임관(勅任官) 이상 여러 관리들이 참석하였다.
3월 26일 양력
궁내부(宮內府)에서 칙임삼등관(勅任三等官), 주임관(奏任官), 동(同) 대우(待遇) 및 승후관(承候官), 시종 무관(侍從武官), 동궁 무관(東宮武官), 친위부 영관(親衛府領官) 이하에게 사찬(賜饌)하였다.
3월 28일 양력
탁지부 대신(度支部大臣) 고영희(高永喜)가 이해의 총예산 가운데에 추가액인 세입 269만 8,426환(圜), 세출 269만 8,426환을 편입해 달라고 한 일에 대해, 내각 총리대신(內閣總理大臣) 이완용(李完用)이 의논을 거쳐 상주(上奏)하니, 제칙(制勅)을 내리기를,
"재가(裁可)한다."
하였다.
3월 29일 양력
내부 사무관(內部事務官) 이기(李琦), 진안 군수(鎭安郡守) 박준성(朴準成), 재무관(財務官) 김교성(金敎聲)을 훈(勳) 5등에 서훈(敍勳)하고 각 팔괘장(八卦章)을 하사하였다.
3월 30일 양력
칙령(勅令) 제25호, 〈선박 신호에 관한 안건〔船舶信號所關件〕〉을 재가(裁可)하여 반포하였다.
'한국사 공부 > 조선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종실록4권, 순종3년 1910년 6월 (0) | 2025.02.06 |
---|---|
순종실록4권, 순종3년 1910년 5월 (3) | 2025.02.06 |
순종실록4권, 순종3년 1910년 2월 (0) | 2025.02.06 |
순종실록4권, 순종3년 1910년 1월 (1) | 2025.02.06 |
순종실록3권, 순종2년 1909년 12월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