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조선왕조실록

순종실록부록7권, 순종9년 1916년 2월

싸라리리 2025. 2. 18. 12:13
반응형

2월 1일 양력

【음력 을묘년(乙卯年) 12월 28일】  태왕 전하(太王殿下)가 전의보(典醫補) 송헌일(宋憲一)의 상(喪)에 일금 100원을 특별히 하사하였다.


【원본】 7책 7권 1장 B면【국편영인본】 3책 591면
【분류】왕실-사급(賜給) / 왕실-국왕(國王) / 풍속-예속(禮俗) / 금융-화폐(貨幣)
태왕 전하(太王殿下)가 전의보(典醫補) 송헌일(宋憲一)의 상(喪)에 일금 100원을 특별히 하사하였다.

 

2월 2일 양력

적포도주(赤葡萄酒)와 부란대〔브랜디〕를 각각 1타(打)를 총독(總督) 백작(伯爵)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에게 보냈다. 총독의 생일이었기 때문이다. 덕수궁(德壽宮)에서도 역시 삼편주(三鞭酒) 1타를 하사하였다.

 

2월 3일 양력

전 특진관(特進官) 윤달영(尹達榮)의 어머니 정부인(貞夫人) 서씨(徐氏)에게 일금 100원을 하사하였다. 91세의 고령이므로 노인을 우대하기 위해서였다.

 

2월 4일 양력

이왕직(李王職)에서 가지고 있는 경성전기주식회사(京城電氣株式會社)의 주식 대정(大正) 4년 하반기의 배당금 1,050원을 회계과(會計課)에서 수령하였다.

 

2월 8일 양력

사무관(事務官) 현백운(玄百運)을 남대문역에 보내고, 덕수궁(德壽宮)에서도 찬시(贊侍) 이성묵(李聖默)을 남대문역에 보내어 정무 총감(政務總監) 야마가타 이사부로〔山縣伊三郞〕가 토쿄〔東京〕에 가는 것을 전송하게 하였다.

 

2월 9일 양력

덕수궁(德壽宮)에 나아가 태왕 전하(太王殿下)를 알현하였는데 왕비도 따라가 뵈었다. 이어서 선원전(璿源殿)과 경효전(景孝殿)에 가서 전알(展謁)하고 의효전(懿孝殿)에 전배(展拜)하였다.

 

양궁(兩宮)에서 전 판관(判官) 신학균(申學均)  【대원왕(大院王) 누이의 사위이고, 신억(申檍)의 사손(祀孫)이다.】 의 상(喪)에 일금 200원을 특별히 하사하였다.

 

2월 11일 양력

총독 관저(官邸)에 행계(行啓)하여 기원절(紀元節) 축하를 전해 주기를 당부하였다.

 

2월 12일 양력

남작(男爵)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  【야마가타 이사부로〔山縣伊三郞〕 정무 총감(政務總監) 부인의 아버지이다.】 의 상(喪)에 부무관(附武官) 김응선(金應善)을 파송하여 조문하고 상당(相當)한 물품을 내렸다.

 

2월 15일 양력

종묘(宗廟)와 영녕전(永寧殿)에 나아가 전배하였다.

 

2월 18일 양력

태왕 전하가 엄주익(嚴柱益)을 소견하였다. 왕세자가 있는 토쿄〔東京〕의 집을 문후한 후 복명(復命)하였기 때문이다.

 

2월 19일 양력

이왕직(李王職)에서 가지고 있는 조선은행(朝鮮銀行)의 주식 제13기 대정(大正) 4년 하반기의 이익배당금 1,750원을 회계과(會計課)로부터 수령하였다.

 

2월 21일 양력

적포도주 1타(打)를 제9사단장(師團長) 가와무라 소고로〔川村宗五郞〕에게 하사하였다. 그의 병이 위중하였기 때문이다.

 

2월 23일 양력

태왕 전하가 찬시(贊侍) 이필균(李弼均)에게 일금 150원을 특별히 하사하였다. 그의 부친상 때문이었다.

 

2월 24일 양력

종질료(宗秩寮)가 보낸 대례 기념장(大禮記念章) 3개를 수령하였다. 【2개는 창덕궁(昌德宮)의 두 전하, 1개는 덕수궁(德壽宮) 전하에게 보낸 것이다.】


【원본】 7책 7권 2장 A면【국편영인본】 3책 592면
【분류】왕실-국왕(國王)

 

2월 25일 양력

양궁(兩宮)에서 주차 군사령부(駐箚軍司令部)에 1,000원을 특별히 하사하였다. 육군 기념일에 경비를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자작(子爵) 미나세 다다스케〔水無瀨忠輔〕  【다카〔多嘉〕 왕비의 아버지이다.】 의 상(喪)에 다카 왕비에게 조전을 보내어 애도의 뜻을 표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