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일 신해
양사(兩司)에서 연차(聯箚) 【대사헌 오취선(吳取善), 대사간 박종휴(朴宗休), 집의 박문현(朴文鉉), 사간 이정신(李鼎臣), 장령 남종삼(南鍾三)·이용직(李容直), 헌납 강연(姜鍊), 정언 박공진(朴公鎭)·이교인(李敎寅)이다.】 하기를,
"바라건대 이응식(李應植) 등을 양이(量移)하라는 명을 정침하소서."
하니, 비답하기를,
"이 일을 가지고 또 쟁집(爭執)하다니, 너무 심하지 않은가? 경(卿) 등을 체차(遞差)하겠다."
하였다.
홍직필(洪直弼)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조충식(趙忠植)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았다.
5월 2일 임자
우의정 김좌근(金左根)이 진소(陳疏)하여 사직(辭職)하였으나, 비답을 내려 윤허하지 않았다.
신종익(申從翼)을 삼도 수군 통어사(三道水軍統禦使)로 삼았다.
5월 3일 계축
이학수(李鶴秀)를 평안도 관찰사로 삼았다.
5월 5일 을묘
우의정 김좌근(金左根)이 재차 상소하여 사직(辭職)하였으나, 비답을 내려 윤허하지 않았다.
5월 7일 정사
송근수(宋近洙)를 이조 참의로 삼았다.
5월 8일 무오
우의정 김좌근(金左根)이 세 번째 상소하여 사직(辭職)하였으나, 비답을 내려 윤허하지 않았다.
5월 10일 경신
소대(召對)하였다.
5월 11일 신유
인정전(仁政殿)에 나아가 경모궁(景慕宮)의 하향(夏享)에 쓸 향과 축문을 친히 전하였다.
5월 13일 계해
희정당(熙政堂)에서 차대(次對)하였다.
5월 14일 갑자
김수근(金洙根)을 선혜청 당상(宣惠廳堂上)으로 삼았다.
5월 20일 경오
약원(藥院)에서 희정당(熙政堂)에 입진(入診)하였다.
5월 21일 신미
홍우철(洪祐喆)을 성균관 대사성으로 삼았다.
5월 22일 임신
소대(召對)하였다.
5월 23일 계유
소대하였다.
5월 29일 기묘
소대(召對)하여 《갱장록(羹墻錄)》을 강(講)하였다.
'한국사 공부 > 조선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종실록4권 철종3년 1852년 7월 (1) | 2025.04.29 |
---|---|
철종실록4권 철종3년 1852년 6월 (0) | 2025.04.29 |
철종실록4권 철종3년 1852년 4월 (0) | 2025.04.29 |
철종실록4권 철종3년 1852년 3월 (0) | 2025.04.29 |
철종실록4권 철종3년 1852년 2월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