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일 무자
효정전(孝定殿)에 나아가 삭제(朔祭)와 주다례(晝茶禮)를 행하였다.
3월 2일 기축
춘당대(春塘臺)에 나아가 춘도기(春到記)를 행하였다. 강경(講經)에 합격한 유학(幼學) 이형회(李亨會)와 표(表)에 합격한 진사(進士) 김긍연(金肯淵)을 아울러 직부 전시(直赴殿試)하게 하였다.
3월 3일 경인
이행교(李行敎)를 평안도 병마 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로 삼았다.
3월 4일 신묘
희정당(熙政堂)에서 차대(次對)하였다. 좌의정(左議政) 김흥근(金興根)이 아뢰기를,
"경학(經學)을 주(主)로 삼고 사서(史書)로 보좌(輔佐)를 삼아 도술(道術)을 밝히고 사리(事理)를 살필 것이며, 날마다 장사(莊士)020) 를 가까이 하여 강마(講磨)하고 토론(討論)하며 과정(課程)을 엄히 세워 혹시라도 중단함이 없어야 합니다."
하니, 비답하기를,
"내가 비록 불민(不敏)하지만 마땅히 가슴에 새기겠다."
하였다. 우의정 박영원(朴永元)이 절검(節儉)에 힘쓸 것을 진달(陳達)하니, 비답하기를,
"만일 백성을 사랑하려고 한다면 반드시 절검(節儉)부터 시작해야 한다. 경이 ‘애민(愛民)’이란 두 글자로 간절히 진계하고 면려하니, 결단코 마땅히 체념(體念)하겠다."
하였다.
대왕 대비전(大王大妃殿)에서 명하기를,
"각도에 값을 줄이는 것과 돈을 늘리는 폐단을 엄칙(嚴飭)하고, 수의(繡衣)021) 를 나누어 보낼 때에 사목(事目)에 첨가해 넣어 규찰(糾察)하게 하라."
하였다.
3월 5일 임진
약원(藥院)에서 희정당에 입진하고, 소대하였다.
3월 7일 갑오
주강하였다.
3월 8일 을미
소대하였다.
3월 9일 병신
소대하였다.
3월 10일 정유
서기순(徐箕淳)을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로 삼았다.
춘당대(春塘臺)에 나아가 삼일제(三日製)022) 를 행하였다.
3월 13일 경자
춘당대에 나아가 문과 정시(文科庭試)를 행하여 진사(進士) 윤병정(尹秉鼎) 등 5인을 뽑고, 무과(武科)에서 한량(閑良) 김제긍(金濟肯) 등 3백 30인을 뽑았다.
3월 14일 신축
진전(眞殿)에 나아가 전배(展拜)하였다.
3월 15일 임인
파주(坡州) 행궁(行宮)에 나아가 하룻밤 유숙(留宿)하였다.
3월 16일 계묘
인릉(仁陵)023) 에 나아가 친제(親祭)하고 장릉(長陵)024) 을 전알(展謁)하였으며, 파주 행궁으로 돌아와 하룻밤 유숙하였다.
윤치겸(尹致謙)을 형조 판서(刑曹判書)로, 홍재철(洪在喆)을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으로 삼았다.
3월 17일 갑진
전계 대원군(全溪大院君) 묘소(墓所), 은언군(恩彦君) 묘소, 완양 부대부인(完陽府大夫人) 묘소, 용성 부대부인(龍城府大夫人) 묘소에 나아가 전배(展拜)하고 환궁(還宮)하였다.
3월 18일 을사
진전(眞殿)에 나아가 전배하였다.
약원(藥院)에서 희정당(熙政堂)에 입진하였다.
돌아온 세 사신(使臣)을 불러 보았다.
김정집(金鼎集)을 형조 판서(刑曹判書)로 삼았다.
3월 20일 정미
조기영(趙冀永)을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로 삼았다.
3월 22일 기유
희정당에 나아가 신은(新恩)의 사은(謝恩)을 받았다.
충청좌도 암행 어사(忠淸左道暗行御史) 서당보(徐堂輔)를 불러서 보았는데 단양 군수(丹陽郡守) 장조(張照), 신창 현감(新昌縣監) 김건(金鍵), 제천 현감(堤川縣監) 조행진(趙行鎭), 온양 군수(溫陽郡守) 조병선(趙秉璿), 전(前) 군수(郡守) 윤상일(尹庠一), 천안 군수(天安郡守) 김근희(金近喜), 전 전의 현감(全義縣監) 유신환(兪莘煥), 전 아산 현감(牙山縣監) 이노영(李魯榮), 전 청주 영장(淸州營將) 신명항(申命沆), 전전(前前) 충주 영장 조존덕(趙存德) 등에게 죄를 줄 것과 청풍 부사(淸風府使) 이휘재(李彙載)를 포장(褒奬)하여 준직(準職)해서 제수할 것을 서계(書啓)하였다.
3월 27일 갑인
춘당대에 나아가 서북(西北)의 별부료 시사(別付料試射)025) 를 행하였다.
3월 29일 병진
약원에서 희정당에 입진하고, 소대하였다.
경기 암행 어사(京畿暗行御史) 유안(柳晏)을 불러 보았는데, 전 양지 현감(陽智縣監) 최집(崔鏶), 파주 목사(坡州牧使) 이길구(李吉求), 전전 여주 목사(驪州牧使) 이규헌(李奎憲), 전 교동 부사(喬桐府使) 오치현(吳致賢), 전전 장단 부사(長湍府使) 구성희(具性喜), 전전 통진 부사(通津府使) 구춘희(具春喜), 이천 부사(利川府使) 심석규(沈碩奎), 전전 고양 군수(高陽郡守) 김효구(金孝求) 등에게 죄를 줄 것과, 마전 군수(麻田郡守) 홍재응(洪在應)을 포장하여 승서(陞敍)할 것을 서계(書啓)하였다.
'한국사 공부 > 조선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종실록3권 철종2년 1851년 5월 (0) | 2025.04.28 |
---|---|
철종실록3권 철종2년 1851년 4월 (1) | 2025.04.28 |
철종실록3권 철종2년 1851년 2월 (0) | 2025.04.28 |
철종실록3권 철종2년 1851년 1월 (0) | 2025.04.28 |
철종실록2권 철종1년 1850년 12월 (2)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