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공부 38

20230723 주식공부, 용어정리

이탈 특정 가격을 아래로 깨는 경우를 이탈이라 한다. 예를 들어 '20 이동평균을 이탈했다'고 하면 시가는 20 이동평균의 위에 있었지만, 종가가 이동평균의 아래로 내려간 상황을 말한다. 돌파 이탈과 반대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경우 돌파라고 한다. 다른 데서도 돌파라고 하니 따로 예시하지 않다. lvl 특정기간 동안 움직인 가격범위의 중간 값 lvl5라고 하면 일봉인 경우 5일의 종가 최대값과 최소값의 평균이다. 1시간단위로 lvl24인 경우 일봉의 고가와 저가를 평균한 값과 같다. price channel 에서 사용하는 지표와 같은데, 차트마다 계산하는 시간이 다른 것 같다. 내가 계산할 때는 1봉 전의 값과 비교하는데 사용한다. 예를 들어 lvl5는 일봉의 경우 6일전부터 1일전의 가격의 중간값을..

재테크 공부 2023.07.23

자동 매매 개발기

자동매매를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봇?을 만들고 있다. 아직 다 만들진 못했지만 중간 정리한다. 오랫동안 보다보니 약간의 패턴이 보여서 하나씩 검증하는 중이다. 예전부터 가격이 특정 구간에서 진동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최근에 price channel 이란 지표를 알게되었다. 그래프로 적용하고 몇주동안 검토했다. 특정 구간에서 진동하는 것이 맞는 것 같아서 2주간 수익을 낼 수 있는 로직을 개발중이다. 자동매매 로직에는 몇 가지 조건이 요구된다. - 작아도 꾸준한 수익률 - 손절 최소화 - 모든 시간 간격과 대부분의 종목에서 비슷한 수익율을 가져야 한다. 조건도 단순하고 눈으로 볼 때는 무조건 수익나는 구간이 있는 것 같은데 생각만큼 쉽지 않다. 어떤 곳에선 수익이 나지만, 다른 곳에서는 수익이 안..

재테크 공부 2023.06.28

20230621 정배열

가장 쉽게 사용하는 보조지표로 이동평균을 활용한다. 단위 시간을 기준으로 정해진 구간(5구간, 10구간 등, 일봉이면 5일봉, 10일봉 등)으로 평균을 낸값이다. 그 중 정배열이란 작은 기간동안의 평균이 높을 때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걸 이용해서 수익낼 수 있는 로직을 만드는 중인데, 어느정도 수익이 나긴한다. 무릎에서 사서 어깨에서 팔라는 말이 해당하기도 한다. 대세상승에는 이보다 쉽고 간단하면서 수익률을 보장하는 방법도 잘 없다. 문제는 대세상승이 아닌 경우 손해가 커질 수 있다는 것과 평균의 특성상 과거의 데이터가 반영되기 때문에 대세상승이 끝나도 상승으로 판단된다는 점이다. 그래서 대세상승이 종료될 때 고점에서 물릴 가능성이 생긴다. 이미 그려진 차트를 보면 왜 이걸 모를까 싶지만 막상 진행되는 ..

재테크 공부 2023.06.21

분양권 매매 관련 알아야 할 것들

분양권매매는 적은 금액으로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재테크 방법이다. 그래서 사기도 많고 안전한 거래를 위해서는 알아야할 부분이 많다. 1. 절차 - 매매 계약, 계약 검인, 실거래가 신고, 중도금대출 승계, 명의변경, 세금 관련 처리 등의 사항이 발생한다. 2. 주의할 사항 - 분양권은 등기부등본이 없다. 소유주 확인이 쉽지 않다는 것 - 소유주 확인하기 위해서는 분양권 원본과 건설사 문의하는 방법밖에 없다. 이거라도 해야 한다. - 이미 팔렸는지 아닌지 알 수 없다. 분양권은 재발행 가능하다. - 급매로 나온다고 무턱대고 사지 말자. 3. 가격 - 분양가격을 확인해야 한다. - 매도인이 납부한 금액과 프리미엄을 합한 금액으로 거래한다. - 매도인이 이미 납부한 금액에 대해서만 지불하고 분양권을 사게 ..

재테크 공부 2023.05.25

암호화폐 (업비트 기준) 수수료율과 세금 계산 예시

암호화폐는 거래소마다 수수료율이 다르다. 업비트를 기준으로 정리한 수수료율 거래 수수료율 - 원화 거래 : 0.05% - 비트코인 거래 : 0.25% - 미국 달러 거래 : 0.25% 출금 수수료 - 원화 출금 : 회당 1,000 원 출금한도 등 다른 자세한 조건은 직접 찾아보자. 업비트 디지털 자산,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에이다, 솔라나 등 알트코인 거래. upbit.com 거래 예시 1 조건 : 1,000 만원을 거래해서 10% 수익이 났고, 그 수익금 100 만원을 출금하는 경우 - 매수 수수료 : 5,000원 ( 1,000 만원에 대한 0.05% ) - 매도 수수료 : 5,500원 ( 1,100 만원에 대한 0.05% ) - 출금 수수료 : 1,000원 합쳐서 11,500원의 수수료가 발생..

재테크 공부 2023.05.06

주가의 움직임 - 매집을 하려면 치킨게임을 해야 한다.

매수가 많으면 가격이 떨어지고 매도가 많으면 가격이 오른다. 물타기 로직을 만들어서 돌려봤더니 크게 물려서 호가창만 계속 보고있었다. 한참 보다보니 이상한 게 있었다. 4호가 차이로 수량이 들어와있는게 아닌가? 예를 들어 1만원에 매도가 1000, 1만100원에 또 매수가 1000. 이런식으로 말이다. 그래서 무슨일인가 계속 지켜봤다. 당연하겠지만 중간에 들어있는 가격들에서 소량의 거래만 이뤄지더라. 그러다가 한쪽이 물량을 던지는 것 같은 모습이 나타나고 그 이후 가격이 상승했다. 치킨게임이구나.. 물량을 수집하는 사람이 있으면 매수 호가에 호가잔량이 쌓이게 된다. 더 싼 가격에 사고 싶으니까... 그런데 내가 아직 수량을 다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갑자기 가격이 올라가면 안된다. 그래서 매도에도 4틱 ..

재테크 공부 2023.05.03

[부동산] 제주도 농사짓는 임야 농막 신고 과정 - 혹시 도움될까 해서 기록하는 포스팅

컨테이너를 땅에 놓고 전기를 연결하기 위해서 농막으로 사용하려고 했다. 왜인지 모르겠지만, 농막에 전기를 연결하려면 신고완료된 서류가 필요하다. 농업용전기라 그런가? 결론부터 말하면 임야에 농막설치가 가능하다. 처음에 임야 신경안쓰고 읍사무소에서 신청했더니 수수료까지 취소시키고 신청 자체를 없애버렸음. 그래서 시청에 가서 물어봤다. 그냥 무작정 찾아가서 담당자를 만나서 이것저것 물어보니 조건은 까다로운데 된다는 것 같다. 산지법을 기준으로 농막설치가 가능하다. 다음 조건 정도? 1. 신청자가 농업인이어야 하고 2. 농지로 활용되는 땅이어야 하고 3. 농막의 면적이 200 제곱미터 미만이어야 하고 4. 사용하는 땅(바닥면적)이 전체의 25% 이하여야 한다. 5. 주거의 목적은 안되고 6. 산지일시사용신고와..

재테크 공부 2023.05.03

암호화폐에 대한 챗GPT와의 대화

챗GPT한테 암호화폐에 대해서 물어봤더니 다음과 같이 이야기 했다. 암호화폐는 디지털 돈으로, 컴퓨터를 사용해서 만들어진 돈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현금과는 다르게, 중앙관리기관이 없고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를 보안하고 거래를 기록하는 기술로는 블록체인이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거래 내역을 기록하는 공개장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공개장부는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참가자들이 함께 기록하고 확인하며, 불변성을 가지고 있어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암호화폐는 채굴이라는 방법으로 발행됩니다. 채굴이란, 거래를 확인하고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작업을 하는 것으로, 이 작업을 수행하는 컴퓨터에 대한 보상으로 암호화폐가 지급됩니다. 암호화폐는 지금은 아직 많이 사용되지는 않지만..

재테크 공부 2023.04.09

주식매매전략 변동성 돌파 전략

변동성 돌파 전략? 이 전략은 이름대로 변동성을 돌파하면 사서 다음날 시가에 매도 하는 전략이다. 굉장히 단순한 전략이지만, 이 전략을 개발한 미국의 래리 윌리암스(Larry Williams)라는 사람은 이걸로 전설적인 수익률을 냈다고 한다. 그리고 그의 딸, 미셸 윌리암스도 고딩때, 이 전략으로 수익률대회 1등했다고 하는 무시무시한 전략이다.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의 변동성이 커질 때, 추세에 올라타는 방법이랄까? 그런데 이상하지 않은가? 이렇게 쉬운 전략이 효과가 있다고? 쉬우면 모든 사람들이 다 쓸 줄 알텐데? 라는 생각에서 직접 테스트를 해봤다. 실제로 그럴까? 그래서 테스트를 해봤다. 파이썬으로 자동으로 매매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돌려봤다. 결론부터 말해서 수익이 나긴 난다. 하지만 조건에 따라 다..

재테크 공부 2023.04.05

국내 주식중 분기배당하는 종목

주식투자를 하는 이유는 배당을 받기 위해서라는 말이 있다. 대부분 반대로 인식하지만, 오르는 주가가 사실은 덤이란 말이다. 그래서 배당을 그나마 많이 하는 주식 종목을 모아보았다. 삼성전자 005930 삼성전자우 005935 SK하이닉스 000660 POSCO홀딩스 005490 KB금융 105560 신한지주 055550 SK텔레콤 017670 CJ제일제당 097950 한온시스템 018880 쌍용C&E 003410 씨젠 096530 한샘 009240 아이마켓코리아 122900 효성ITX 094280 삼양옵틱스 225190 이런 주식들을 하나씩 사모으다가 어느정도 가격이 올랐을때 한방에 팔면 되지 않을까? 제발~

재테크 공부 2023.02.03

주식 거래 비용을 알아보자

주식의 가격 말고도 주식을 사고 팔때 수수료와 세금을 내야 한다. 수수료는 증권사가 받아가는 주식거래 수수료이고, 증권사마다 다르다. 세금은 첫째로 증권거래세로 주식을 팔 때 무조건 내는 세금이 있다. 이익이 없는 경우에도 내야 한다. 둘째로 배당을 받은 경우 이익에 대해 15.4%에 해당하는 이자소득세를 내게 된다. 마지막으로 다른 이자와 배당을 합쳐 금융소득이 일정규모를 넘으면 종합소득세에 합산되어 세금을 내야 한다. 대주주는 양도세를 내게 되지만 이런건 알 필요가 없다. 세무사에 맡겨야 한다. 1. 같은 가격에 사고 팔면? 예를 들어 10만원짜리 주식을 10주사서 10만원에 팔았다고 하자. 계산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수수료는 0.02%로하자. 주식을 구입하는 금액 100만원에 증권사의 수수료 200..

재테크 공부 2022.12.31

KOSPI 모든 종목 코드 2022년 12월 28일, 가나다순, 영어 먼저

종목코종목코드드ㅈ 종목명 095570 AJ네트웍스 006840 AK홀딩스 027410 BGF 282330 BGF리테일 138930 BNK금융지주 001460 BYC 001465 BYC우 001040 CJ 079160 CJ CGV 00104K CJ4우(전환) 000120 CJ대한통운 011150 CJ씨푸드 011155 CJ씨푸드1우 001045 CJ우 097950 CJ제일제당 097955 CJ제일제당 우 000590 CS홀딩스 012030 DB 016610 DB금융투자 005830 DB손해보험 000990 DB하이텍 000995 DB하이텍1우 139130 DGB금융지주 001530 DI동일 000210 DL 001880 DL건설 000215 DL우 375500 DL이앤씨 37550L DL이앤씨2우(전환) ..

재테크 공부 2022.12.29

종합소득세율 2021년 귀속

종합소득세 세율 (2021년 귀속) 종합소득세 세율 (2021년 귀속)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2,000,000원 이하 6% - 12,000,000원 초과 46,000,000원 이하 15% 1,080,000원 46,000,000원 초과 88,000,000원 이하 24% 5,220,000원 88,000,000원 초과 150,000,000원 이하 35% 14,900,000원 150,000,000원 초과 300,000,000원 이하 38% 19,400,000원 300,000,000원 초과 500,000,000원 이하 40% 25,400,000원 500,000,000원 초과 1,000,000,000원 이하 42% 35,400,000원 1,000,000,000원 초과 45% 65,400,000원 국세청에도 게시..

재테크 공부 2022.12.20

소득세표

수익(연봉에서 지출인정액만큼 제한 금액)에 대한 종합소득세. 대략적인 부분 기억하고 있으면 나중에 써먹기 편함. 예를 들어 연봉이 5천만원인 가장이 매년 카드값 등 지출액 포함해서 2천5백만원정도 인정된다면 267만원의 종합소득세를 내게 된다. 물론 월급을 받을 때 회사에서 원천징수하는 세금이 있어서 웬만해서 이 금액을 내지 않고, 환급을 받는 경우가 많다. 소득 세금 실질 세율 10,000,000 600,000 6.0% 20,000,000 1,920,000 9.6% 25,000,000 2,670,000 10.7% 30,000,000 3,420,000 11.4% 40,000,000 4,920,000 12.3% 50,000,000 6,780,000 13.6% 60,000,000 9,180,000 15.3%..

재테크 공부 2022.12.14